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I for humanity” : fairness and the optimization of bias in AI Wonsup Jung p. 5-15

연남동 가는 청년들 = Young people going to Yeonnam-dong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ultural space reproduced by the cultural industry : 문화산업이 재현하는 도시 공간에 관한 탐색적 연구 류웅재, 김민승 p. 17-48
이기호 소설에서 나타나는 웃음의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laughter in Lee Ki-ho's novels : focusing on masochistic laughter and sublime laughter : 마조히즘적 웃음과 숭고한 웃음을 중심으로 안아름 p. 49-73
신체 유물론과 소외된 감성 공동체 = Bodily materialism and alienated sensual community : an emphasis on Hegel and Marx's theories of the body : 헤겔과 맑스의 신체론을 중심으로 김현 p. 75-107

암시된 저자와 서사 소통 모델 논쟁의 논의사와 의미 연구 = A study on the debate history of the implied author and narrative communication model and its implication 김기홍 p. 109-131
미래의 허구성과 상상력의 한계 = The fiction of future and the limits of imagination 김광연 p. 133-156
(The) origin of fascist aesthetics in antiquity : the critical analysis of totalitarian discourse in Plato's philosophy Seo, Jeongyeon p. 157-185
니체의 자기입법의 예술가 = Nietzsche's artist of self-legislation : the conflict between sovereignty and traditional morality : 주권적 개인의 형성과 선악의 갈등에 관하여 정희중 p. 187-211

정서가 주의를 거쳐 얼굴에 대한 사회적 평가 과정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ffect on social evaluation of faces through attention 홍영지, 이윤형 p. 213-234

소유자주어-예속빈어 구문의 주관성 고찰 = A study of subjectivity about ‘possessor-subject possessee-object’ construction : based on '王冕死了父亲' : '王冕死了父亲'을 중심으로 남양우 p. 235-256
임종 돌봄 경험에 대한 사례이해 = Case understanding end-of-life care experiences : focused on the experiences of a Korean hospice care at-home center director in Germany : 재독 한인 재가호스피스센터장의 경험을 중심으로 양영자 p. 257-290
고시조 종장 초구에 수용된 ‘동식물’의 역할과 의미 = The role and meaning of 'animals and plants' accepted in the first syllable of the Sijo end 변승구 p. 291-309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에서 미치의 상실과 블랜치의 사회적 죽음 = The loss of Mitch and Blanche’s social death in A Streetcar Named Desire 남정섭 p. 311-326
인클루시브 교양에 기반한 트랜스/포스트휴먼 장애 인식 개선에 관한 탐색적 연구 = An exploratory study on improving awareness of trans/posthuman disabilities based on the inclusive liberal art(s) 김용하 p. 327-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