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목적: 이 연구는 ADHD를 가진 초등학생 아동의 주의력 결핍, 충동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FIE-Basic의 점의 조직(OD)을 통한 중재와 게임놀이치료를 병합하여 적용한 단일사례 연구이다.

연구방법: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가 중재자로서 아동에 대해 FIE-B의 OD를 적용하였다. MLE에 기반한 중재가 매주 1회기씩 50분, 총 24회기가 이루어졌다. 게임놀이치료는 놀이치료사에 의해 매주 1회기씩 40분, 총 20회기가 진행되었고, 본 연구자는 이를 분석하였다. 중재효과 검증을 위한 분석으로 집행기능곤란 검사, ADS검사, HTP검사를 사전, 사후 실시하였다. 또한 FIE-B의 OD 중재 과정 및 게임놀이치료 과정에서 아동의 주의력, 충동성 등 인지기능의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집행기능곤란의 하위요인인 계획-조직화 곤란, 행동통제 곤란, 정서통제 곤란, 부주의에서 감소가 나타났다. ADS에서는 시각 자극의 경우 부주의, 반응시간 평균, 반응시간 표준편차가 정상 범주로 변화되었고, 청각 자극의 경우 주의력, 반응시간 표준편차가 정상 범주로 변화되었다. HTP결과도 주의력, 충동성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둘째, FIE-B의 OD 중재 과정에서 아동의 부주의 감소, 충동성의 조절을 포함한 다양한 인지적 기능의 중진이 있었다. 셋째, 게임놀이치료 과정에서도 주의력의 증진 및 충동성 조절이 증진되었다.

결론: ADHD아동에 대한 FIE-B의 OD 중재와 게임놀이치료를 병합한 중재가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is a single case study that applied FIE-Basic’s Organization of Dots (OD) and game play therapy in elementary school child with ADHD.

Methods: For this study, FIE-B (OD)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50 minutes, for a total of 24 sessions. Game play therapy was conducted a total of 20 sessions, one session per week for 40 minute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mediation,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Screening Questionnaire, ADS test, and HTP were conducted pre-and post-test. Also, we analyzed changes in children’s attention and impulsivity during the FIE-B (OD) mediation process and game play therapy.

Results: First, results showed a decrease in executive dysfunction. Also showed changes in attention and impulsivit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FIE-B (OD) mediation process, there was improvement in various cognitive functions. Third, attention and impulsive control were also improved during the game play therapy process.

Conclusion: This suggests that an mediation combining FIE-B (OD) and game play therapy for child with ADHD may be effective.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집단미술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부적응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변화 탐색 = Exploring the effects of a group art program on the social interactions of maladaptive children 방나영, 심미경 p. 1-20

FIE중재와 게임놀이치료의 병합 중재가 ADHD아동에게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the combined of FIE mediation and game play therapy in ADHD child : a single case study : 단일사례 연구 최진아 p. 21-43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STEAM 기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EAM-base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황연주, 황희숙, 김빛내 p. 45-71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불안과 어머니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arenting anxiety and maternal gatekeeping on the paternal involvement of couples with preschoolers : focus on perceptions between fathers and mothers with APIMeM : 부모의 지각을 중심으로 APIMeM의 적용 박진진, 안정신, 조규영 p. 73-90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SNS 상향비교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other’s SNS upward comparison on parenting efficacy : moderated mediation of parenting anxiety and perceived marital support : 양육불안과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채원, 강지현 p. 91-113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에서 향상초점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promotion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by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flourish 손원우, 김정섭 p. 115-130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분노조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attachment to parents on anger regulation of college students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mentalization by self-esteem : 자아존중감에 의한 정신화의 조절된 매개효과 박응임, 이은경 p. 131-149

한·중 대학생의 주체성,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The role of agency,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in the career decision levels of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류루루, 김은빈, 정진희, 김다영 p. 151-168

대학생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정서적 섭식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on emotional eating among college students : the sequential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body dissatisfaction : 사회비교경향성과 신체불만족의 순차적 이중매개 이수진, 이상희 p. 169-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