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흥부전〉의 '밥 먹는 대목'에 대한 비교예술학적 접근 = A comparative artistic approach to the 'rice eating scene' in 〈Heungbujeon〉 / 이정원 1

차례 1

국문초록 1

1. 서론 2

2. 물질성의 극복 10

1) 최후의 만찬 10

2) 소작농의 결혼식 13

3) 〈흥부전〉의 '밥 먹는 대목' 16

3. 인물의 고립 23

1) 〈최후의 만찬〉 : 유다의 고립에서 예수의 고립으로 23

2) 〈소작농의 결혼식〉 : 신부의 고립 26

3) 〈흥부전〉 : 흥부의 고립 28

4. 결론 34

참고문헌 37

ABSTRACT 41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웹 소설에 나타난 고전소설의 활용 양상과 의미 = A study on the use and meaning of classical novels in web novels : focusing on “Tiger Eosa Shakes Joseon” : 「호랑이 어사, 조선을 뒤흔들다」를 중심으로 서보영 p. 5-39

보기
고전문학 기반 콘텐츠 창작의 실제 = The practice of creative content based on classical literature : focusing on case analysis of assignments of department of media storytelling : 미디어스토리텔링과 과제물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신윤경 p. 41-72

보기
『승사록』 속 주체의 ‘감성’ 변모 양상에 관한 一考 =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aspect of the subject’s ‘emotion’ in 『Seungsarok』 박상영 p. 73-115

보기
사대부의 시선으로 본 무당의 형상과 그 의미 = A study on the image of shama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cholar-gentry(士大夫) 이주영 p. 117-152

보기
<흥부전>의 ‘밥 먹는 대목’에 대한 비교예술학적 접근 = A comparative artistic approach to the ‘rice eating scene’ in <Heungbujeon> 이정원 p. 153-194

보기
<성진사전>의 문제의식과 사회적 갈등의 해소 양상 = A study on the social critical consciousness and the way of resolution of social conflict in <Seong Jinsa-Jeon> 정인혁 p. 195-221

보기
<심청전>에 나타난 돌봄의 제 양상 = Several aspect of care in “Shim cheongjeon” 백지민 p. 223-252

보기
학부 유학생과 한국어 모어 학습자 간의 상호 이해 증진을 위한 모국 설화의 교육적 활용 전략 = Strategies for educational use of folktales for mutual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between international and Korean students 한새해 p. 253-296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