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학부 유학생과 한국어 모어 학습자 간의 상호 이해 증진을 위한 모국 설화의 교육적 활용 전략 = Strategies for educational use of folktales for mutual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between international and Korean students / 한새해 1
차례 1
국문초록 1
1. 들어가며 2
2. 학부 유학생 현황 및 교육 변화의 필요성 5
3. 왜 모국 설화인가? 13
4. 국내외 학습자의 상생을 위한 모국 설화의 교육적 활용 19
1) 교수 설계 19
2) 설화 기반 학습자 과제 분석과 교육적 가치 제고 27
5. 나가며 38
참고문헌 41
ABSTRACT 43
이 연구는 설화를 활용한 교육이 국내외 학습자 모두를 질적, 학문적 차원에서수렴, 수용하는 흥미로운 강좌로 운용될 수 있음에 주목한다. 현재 국내 대학 내유학생 유입이 증가하는 가운데, 유학생과 내국인 학생이 함께 수강하는 강의 역시점차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대학 내 현장에서는 유학생과 내국인 학생 간 필연적일수밖에 없는 교육 격차가 벌어지고 있으며, 저마다의 입장에서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설화의 교육적 활용은 학부 유학생과 한국어 모어 학습자 양 구성원들의 참여를 극대화하고, 상호 간의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때활용되는 텍스트는 한국의 설화뿐 아니라 타국/모국의 설화가 선택될 수 있으며, 수강생은 해당 설화를 교수자와 함께 능동적으로 ‘읽기-듣기-쓰기-말하기’의 과정을 거치며 습득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학습 방안은 유학생 및 국내 학생 모두에게옛이야기의 보편성을 확인하고, 동시에 한국의 전통성과 고유성을 이해하는 기회로확장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이에 구체적인 강의 계획과 관련 자료를 소개하고, 최종 결과물로 제출된 학습자들의 발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설화 교육이 함의하고 있는 미래지향적 발전 방향까지 논의하고자 한다. 종합하면, 학부 유학생을 위한 교육 방안은 이제 유학생만을 위한 것으로 한정할 것이 아니라, 내ㆍ외국인 학습자 모두를 융합하는 다방면의 기초 연구 방안으로 확장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 바이다. 이러한 학습 방안은 지속해서 유입되는 대학 내 외국인 학습자 교육을 위한 전방위적 문제로 확대되기에 충분하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논의가 될 수 있으리라 본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