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학교 역사 교과서의 선사시대 서술 = A study on description of prehistoric eras in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천선행 p. 5-31
현행 역사교과서 내 한국 고대사 분야에 대한 고고학 관련 서술 검토 = A review of the archaeological descriptions of the ancient Korean history in the current history textbook 양시은 p. 33-57
영국 역사교과서의 고고학 자료 서술 특징과 시사점 = Narrative analysis of archaeological data in British history textbooks : focusing on the textbooks of <Key Stage 2> : <주요단계 2>의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조대연 p. 59-78
청동기시대 無文土器의 分類에 관하여 = Classification of Bronze Age Mumun pottery : 진주 대평리 취락을 중심으로 이수정 p. 79-110
청동기시대 공렬토기 형성과 상한연대에 관한 檢討 = A study on the formation of perforated rim pottery in the Bronze Age and its upper age : centering on the north-western part of Gyeonggi : 경기 서북부지역을 중심으로 구혜영 p. 111-139
유⋅소아묘를 통해 본 청동기시대 귀속지위의 출현과 양상 = Appearance and aspect of the status of attribution in the Bronze Age from infant and children’s tombs 이명훈 p. 141-178
마한⋅백제지역 철모의 변천과 의미 = A study on the transition and meaning of iron spearheads in the Mahan-Baekje region 형유진 p. 179-211
馬韓⋅百濟⋅韓濊 권역의 인구변동 = Population dynamics in the Mahan, Baekje, and Hanye regions from the 1st to 6th centuries AD : AD 1~6세기를 중심으로 박지영, 김세진 p. 213-239
어은리 출토 장식품으로 본 진한(辰韓)과 진한(秦漢)의 교류 = Exchange between Jin-han and Qin and Han Dynasties in the perspective of adornments : centering on the adornments excavated in Eoeun-Ri : 간접적 연결에서 시장의 형성으로 김동일 p. 241-274
積石木槨墓 出現期의 樣相 =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ergence period of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심현철 p. 275-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