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사회복지사의 성인지 수준과 성인지 사회복지실천의 현황을 살펴보고 성인지가 사회복지실천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여 사회복지교육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의 성인지와 성인지 실천에 관한 온라인 질문지 조사를 하여 504명의 응답 자료에 대해 기술통계, 평균차 검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인 성인지 수준은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구체적으로 여성, 30대, 이용시설, 여성·가족 영역의 사회복지사 성인지의 세부 수준들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성인지 사회복지실천의 수준 역시 양호하지만 남성, 50대 이상, 생활시설, 노인, 장애인 영역 사회복지사들이 노인과 아동, 장애인, 노숙인, 빈곤 한부모 등과의 성인지 실천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것으로 가늠되었다. 나아가 사회복지사의 성인지 수준은 사회취약층 클라이언트와의 성인지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교육을 위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중도입국 자녀의 한국어 능력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Korean proficiency on school adjustment among immigrant youth : focusing on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eer support and acculturative stress : 또래 지지와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지희, 황숙연 p. 1-25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역량 증진을 위한 PBL 적용 수업의 효과 = The effectiveness of applying PBL to improve social work program development competencies : focusing on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class :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수업운영을 중심으로 정은주, 홍순혜 p. 27-54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게재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Journal of Mental Health & Social Work(2014~2023) : 지난 10년(2014~2023)을 중심으로 박미은 p. 55-81

정신건강사회복지사의 수련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training experienc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전진호, 이성규 p. 83-107

사회복지사의 성인지 현황과 실천 = Gender sensitivity in social workers :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education : 사회복지교육을 위한 함의 박선영, 양미연, 김은정 p. 109-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