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 청년에서 대사적으로 정상인 비만 표현형을 진단하기 위한 지표로서 심장대사지수와 내장지방지수의 유용성 = Usefulness of cardiometabolic index and visceral adiposity index as indicators for diagnosing metabolically healthy obesity phenotype in Korean youth 신경아 p. 1-8
성인초기 여성의 환경유해인자에 대한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취약성 및 자기효능감이 노출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perceived severity, perceived vulnerability, and self-efficacy on preventive behaviors of environmental hazards exposure in early adult women 양은정, 김순희 p. 9-16
혼종모형을 이용한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료적 말벗간호에 대한 개념분석 = A concept analysis of therapeutic companion nursing for nursing hospital nurses using the hybrid model 이은선, 백연단 p. 17-25
비대면 복합운동이 VDT 증후군을 가진 여성들의 목 관절가동범위와 압통역치 및 근긴장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non-contact complex exercise on neck range of motion, tenderness threshold and muscle tension in women with VDT syndrome 서태화, 김진영 p. 26-33
ICT기반 가정중심 감각통합치료(SI) 콘텐츠를 이용한 감각통합 활동이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의 행동수행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ICT-based home-centered sensory integration (SI) activities on behavioral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김정기, 박수정 p. 34-40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적응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on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and suicidal thoughts 정은영 p. 41-48
대학 졸업예정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ospective university graduates 정미영 p. 49-56
간호대학생의 선호 교수법과 교수유형 = Preferred teaching methods and teaching types of nursing students 정효주 p. 57-62
(The) effects of deep learning-based back pain management on pain, disability, respiratory muscle strength,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low back pain = 딥러닝 기반의 요통관리애플리케이션이 요통환자에게 통증, 장애 그리고 호흡근력에 미치는 영향 Park, Chanhee, Cha, Youngjoo p. 63-74
밖굽이무릎을 가진 대상자들에게 단축발 운동이 다리 Q 각도와 정적 및 동적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short foot exercise on Q-angle and static and dynamic balance ability in subjects with genu valgum 서성민, 박재효 p. 75-82
Comparison of self-rated health in Korean and American older adults in two cross-sectional studies = 한국과 미국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비교 Ryu, Dajung p. 8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