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n Chinese rural mural design from the perspective of rural revitalization = 중국 시골 벽화 디자인 연구 : 시골 부흥 관점에서
Qi, YuZhe, Ren, HongYan, Han, JiangYue, Zhang, Jing, Qi, ZhengChen
p. 9-24
(The) transformation of the design thinking process with AI intervention = AI개입에 따른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의 변화 : 생성형 인공지능 및 대형 언어 모델을 중심으로 : focusing on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large language models
Chung, Dahye, Lee, Jee Hyun, Cho, Euna, Ahn, Hyunjoo, Kho, Jeongmin
p. 25-44
Kano 모델에 의한 굿즈 디자인 소비자 선호도 연구 = Research on consumer preferences in goods design based on the KANO model : focused on Dunhuang goods design : 둔황(敦煌) 굿즈 디자인을 중심으로
황의항, 이이동, 장우호, 정의태
p. 45-56
Kano 모델을 기반으로 한 커피 브랜드 패키지 디자인 고객 만족도 연구 = A study on user needs for coffee brand packaging design based on the Kano model : focusing on the Chinese brand 'Luckin Coffee' : 중국 브랜드 '루이싱 커피'를 중심으로
이민, 정원준
p. 57-68
KANO 모델을 이용한 스노보드복 디자인의 소비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nsumer satisfaction of snowboard suit design using the KANO model
온우범, 이성원
p. 69-83
KANO 모델을 활용한 연안 지역의 CPTED 수요 분석 = Demand analysis of CPTED in coastal areas using KANO model : around Mipo Village in Busan Metropolitan City : 부산광역시 미포마을을 중심으로
정아신, 양쥔, 조정형
p. 84-93
KANO+QFD 모델을 기반으로 IoT 반려묘 음수기의 디지털 터미널 디자인 방향 제안 = A study on proposing a digital end-to-end design direction for IoT-based pet water dispensers using the KANO+QFD model : focusing on the needs of cat caregivers in the design of IoT-based pet water dispensers : 반려묘 양육 사용자의 요구에 중점으로
장새난, 이의범, 리메이르
p. 94-106
원문보기
KID ZONE 커뮤니티 공간 디자인에 나타난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Embodied Cognition in KID ZONE community space design performance centered on traditional communities in Xiamen, China : 중국 샤먼(厦门) 지역 전통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강소동, 윤재은
p. 107-117
SOR 이론을 기반으로 한 복합형 오프라인 서점에서 사용자의 몰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factors influencing user immersion in compound offline bookstores based on SOR theory
이욱전, 김민우, 강재철
p. 118-129
2-30대 1인 가구를 위한 IoT 홈캠의 디자인 요소 분석 = Analysis of design elements for IoT home camera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 focusing on emotional evaluation and design preferences : 감성평가와 디자인 선호도를 중심으로
박다현, 배예나
p. 130-141
가상현실 박물관의 공간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experience of virtual reality museum : based on embodied cognition theory : 체화된 인지이론을 기반으로
강천문, 조은란
p. 142-151
가상현실(VR)이 박물관 관람객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 study on the impact of VR(virtual reality) on museum visitors participation
조국청, 김상호, 윤재은
p. 152-167
개념 디자인에서의 AI의 활용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conceptual design
이문우, 권순걸
p. 168-178
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친환경 디자인 연구 = A study on the sustainable eco-friendly design of buildings
이윤서
p. 179-190
공공디자인 관련 기준 개정 방향 연구 = A study on the revised direction of public design administrative rules
채완석
p. 191-200
공공미술로서 AI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제안 = Proposal of interactive media art using AI as public art
오은석, 김문석
p. 201-212
국가 연구기술 사업화(기술이전)를 위한 디자인의 역할 및 시사점 = A study on the role of design affect to public scienc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 focusing on prototyping : 시제품을 중심으로
김락현
p. 213-222
노인 친화적 커뮤니티 공공 공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ublic space in age-friendly communities : focusing on China's urban cases : 중국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장역동, 민경훈
p. 223-232
다시점적 관점에서 본 자하 하디드 건축의 확장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Zaha Hadid's architecture from a multi-perspective perspective
박성춘, 오윤숙, 문선희
p. 233-242
도시문화를 기반으로 한 상하이 부산 관광상품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Shanghai-Busan tourist souvenirs and urban cultural communication
저복봉, 정원준
p. 243-253
도시재생관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상권관리전문법인 필요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need for a commercial management corporation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from an urban regeneration perspective : focusing on the case of the formation of a power plant in the traditional market in Seoul, Jung-gu : 서울중구전통시장상권발전소 형성 사례를 중심으로
정경원, 이재규, 장영호
p. 254-267
도심유휴산업공간의 재생디자인특성연구 = A study on the regenerative design characteristics of urban resting industrial space : focusing on the cultural creativity industry : 문화창의산업을 중심으로
양자한, 민경훈
p. 268-277
동아시아와 서유럽 게스트하우스의 에스닉 스타일 디자인 표현 요소 연구 = Expression characteristics for ethnic style design : East Asian vs. Western European guesthouses : focusing on bedroom interior : 침실 인테리어를 중심으로
부카리나 알렉산드라, 문정민
p. 278-290
디지털 휴먼 캐릭터의 성격 특성과 안면 디자인의 관계 탐색 =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facial expressions of digital human characters
왕혜, 장청건
p. 291-311
머신러닝 기반 색채적 특성 분석 및 감성 분류에 관한 연구 = Analysis of color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classification using machine learning : focusing on tourist destination images based on user-generated content : 사용자 생성 콘텐츠 내 관광지 이미지를 중심으로
김미숙, 송준우
p. 312-323
메타버스의 정보성과 유희성이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informativeness and playfulness on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immersiveness : 몰입을 통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연옥
p. 324-338
모바일 화장품 앱 활용현황 및 소비자의 구매행동이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Mobile cosmetics app utilization and consumer's the effect of purchase behavior on purchase satisfaction
이정민, 안은재
p. 339-352
무형문화유산 전시의 인터랙티브 미디어 디자인 적용방법 연구 = Research on interactive media design methods i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xhibition design
저국녕, 김상호, 윤재은
p. 353-364
미디어아트 전시에 대한 이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user experience of media art exhibitions : focusing on a survey targeting Koreans : 내국인 대상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박정호, 나건
p. 365-376
민족무형문화유산 전시와 민족커뮤니티 간의 관련성 분석 = Analyzing the relevance between the display of ethnic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ethnic communities : a case study of the Suoga Longhorn Miao community in Guizhou, China : 중국 귀주(貴州) 소칸 장각묘족(梭戞長角苗族) 커뮤니티을 사례으로
호정, 민경훈
p. 377-386
블라인드 박스 패키지 전략과 소비자 구매욕구 = Blind box packaging strategies and consumer desire to purchase : mainly with POP MART blind box : POP MART 블라인드 박스를 사례로
호만기, 정의태
p. 387-398
사용자의 사고 작용에 미치는 디자인 심리 연구 = A study on design psychology on the thinking action of users : focusing case study on the principles of design psychology : 디자인 심리 원리와 관련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윤병권
p. 399-408
생성AI를 이용한 디자인 리서치 방법론 제안 = Proposal of design research methodology using generative AI : centered around the double diamond model : 더블 다이아몬드 모델을 중심으로
이용혁, 나건
p. 409-419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generative AI on the spread of fake news : focusing on digital biology : 디지털생물학 중심으로
김헌재
p. 420-429
서비스 디자인 관점에서 본 치유농업 발전방안 = Healing agriculture development plan from a service design perspective
이승환
p. 430-439
서비스형 버추얼 휴먼의 감성적 디자인 분석 및 UX평가 = Emotional design analysis and user experience evaluation for service-oriented virtual human : focusing on Chinese museum : 중국 박물관을 중심으로
루징이, 정정호
p. 440-456
스마트팜의 공간배치 특성 연구 = Research on spatial layout characteristics of intelligent farm
진려, 윤재은
p. 457-471
쑤저우 원림에 나타난 원림디자인의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urtyard design in Suzhou Garden
랑연비, 윤재은
p. 472-483
아리랑 축제 활성화를 위한 가상현실(VR) 전시 공간의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VR) exhibition space to revitalize Arirang festival : focusing on the local Arirang festival : 지역 아리랑 축제를 중심으로
구선하
p. 484-496
‘안도다다오 건축에서 나타난 기하학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geometric spatial characteristics in Tadao Ando's architecture' : focusing on Tadao Ando's recent domestic architectural works since 2010 : 안도 다다오의 2010년 이후 최근 국내 건축 작품을 중심으로
박현아
p. 497-508
여성 패션 가방 원단의 텍스쳐(Texture) 디자인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onsumer purchase decisions according to the texture design of women's fashion bag fabrics : focusing on the VAB model : VAB 모델을 중심으로
왕유군, 이성원
p. 509-525
영역성(Territoriality) 기반 노년층 사회적 공간(Social Space) 디자인 수요 만족도 조사 연구 = Research on elderly group social space design demand satisfaction survey based on territoriality : with the environment of facilities of elderly nursing institutions in Xiamen area as the center : 중국 샤먼(廈門) 지역 노인요양시설 환경을 중심으로
이의, 윤재은
p. 526-535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앱 디자인 개발 제안 = Proposing the design of the financial lifestyle application for foreign students :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a financial service application : 금융서비스 앱 개발을 중심으로
홍지우, 오창훈
p. 536-551
이커머스 플랫폼 상품 이미지의 표현 방법이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expression type of e-commerce platform product photos on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 focusing on skincare and makeup cosmetics : 기초·색조 화장품을 중심으로
김해민, 김태완
p. 552-562
장 이론(Field theory)을 이용한 청년아파트 입주자 커뮤니케이션 방법에 관한 연구 = Study on communication methods of residents in youth rental apartment space using field theory : take China's youth rental apartment projects as an example : 중국 청년임대아파트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묘장, 조은란
p. 563-572
제품디자인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을 통한 협업프로세스 활용 가능성 탐색 = Exploring the potential of collaborative processes in product design through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오세빈, 송상민
p. 573-584
중국 현대 주방 디자인 연구 동향 시각화 분석 = Visualizatio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modern kitchen design in China
노관, 조은란
p. 585-594
증강현실 기술과 북 디자인 시각화에 관한 연구 =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book design visualization research
장환영, 왕운호
p. 595-609
카페 공간 디자인의 자연친화적 요소 분석 = An analysis of nature-friendly elements of cafe space design
이유진, 문정민
p. 610-619
패션 디지털 커머스에서 챗봇 특성이 사용자 신뢰와 지속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chatbot characteristics on user trust and continuance intention in fashion digital commerce
김은혜
p. 1-13[실은 620-632]
패키지디자인의 미니멀리즘 표현 속성이 소비자의 감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impact of minimalist expression attributes in package design on consumers' emotional perception
한민민, 오용균
p. 633-651
해양 모빌리티 산업의 확장성을 위한 차세대 개인용 잠수정 디자인 연구 = Design research on the next-gen personal submersible for scalability of the marine mobility industry : autonomous and AI-based ultracompact submersible : 자율주행 및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초소형 잠수정
윤수한
p. 652-661
해양 모빌리티 서비스 다양화를 위한 상업용 스마트 잠수정 디자인 연구 = Design research on commercial smart submersible for diversification of marine mobility services : autonomous and AI-based tourist submersible : 자율운항 및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관광 잠수정
윤수한
p. 662-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