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 배경 및 목적) Open AI의 Chat GPT 개발 이후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생성형 AI 기술은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실감형 콘텐츠 중 하나인 프로젝션 맵핑 콘텐츠제작에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기술적 원리와 실용적 적용을 통합한 교육을 경험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을 통해 프로젝션 맵핑 제작의 각 단계에서 학습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개발하고, 이를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프로젝션 맵핑 콘텐츠의 기획, 제작, 맵핑을 포함하는 교육 과정을 대상으로 상용화된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하여 프로젝션 맵핑 콘텐츠 제작의 교육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했다. 연구 방법으로는 생성형 AI의 기능과 다양한 활용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프로젝션 맵핑의 각 제작 단계에 적합한 교수학습 구성안을 개발하였다. 나아가, 개발된 구성안을 바탕으로 생성형 AI, 실감형 콘텐츠, 교수학습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비구조적 설문을 통해 타당성 평가를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생성형 AI를 활용한 프로젝션 맵핑 제작 교육의 적용 방안을 7단계로 도출했다. 생성형 AI의 기본 원리와 모델을 이해하고, 프로젝션 맵핑 프로젝트를 계획하며, 실제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각 단계는 AI 기술의 윤리적 사용, 데이터 처리의 중요성 교육, 시각화 기술 학습, 설치 기술과 안전 관리 방법, 맵핑 소프트웨어의 조정 및 최적화 기법, 그리고 실행 중 감시 시스템의 구축과 운영까지 다양한 학습 목표와 자료를 통해 교육이 진행된다. 이러한 구성은 학습자들이 기술적 측면과 창의적 사고를 동시에 개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전문가 대상 타당성 조사 결과, 전문가들은 제안된 교육 방안이 프로젝션 맵핑 제작 교육에 있어서 생성형 AI의 활용이 타당하고 유용하며, 필요한 교육 요소를 명확히 설명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라고 평가했다. 해당 교육 과정은 기술적 원리와 실용적 적용을 통합하여 학습자의 이해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생성형 AI를 활용한 프로젝션 맵핑 제작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교육 초기에 구체적인 적용 사례를 추가하여 이해도와 동기를 증진시킬 필요가 있으며, 비전공자와 다양한 교육 환경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교육 과정을 더욱 유연하게 설계해야 하고, 고도화된 기술 단계에서의 문제 해결을 위해 추가적인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는 의견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프로젝션 맵핑과 생성형 AI를 통합한 교육 과정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였으며, 이 과정이 기술 교육을 혁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적용 실험이 부족하고, 비전공자 및 특정 교수 환경의 접근성 문제, 고도화된 기술 단계에서의 지원 부족 등의 연구 한계점이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적용 실험, 비전공자 및 다양한 교육 환경을 고려한 교육 방안 개발, 고도화된 기술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가 생성형 AI를 활용한 실감형 콘텐츠 제작 교육에 보탬이 되길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Since the development of open AI’s ChatGPT, generative AI technology has evolved rapidly and impacted all fields.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using generative AI to produce projection mapping content, a type of immersive media, to enable learners to experience education by integrating technical principles with practical applications. By utilizing generative AI in educational settings, this study develops specific methodologies to enhance learning outcomes at each stage of projection mapping and provides approaches for implementing these methods in educational environments. (Method) This study explored the use of commercial generative AI models as educational tools for producing projection mapping content by targeting courses that include planning, production, and mapping.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analyzing the functions and use cases of generative AI and, based on this, developing instructional plans suitable for each production stage. Furthermore, a validity evaluation was conducted using unstructured surveys targeting experts in generative AI, immersive content, and instructional learning. (Results)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a seven-step application plan for projection mapping production education using generative AI was developed. This includes understanding the generative AI principles and models, planning projects, and acquiring the necessary production skills. Each stage covers ethical AI use, data processing importance, visualization techniques, installation and safety management, software adjustment and optimization, monitoring system operations, and the provision of diverse educational objectives and materials. This configuration aims to develop technical skills and creative thinking among learners. Validity surveys with experts found the proposed approach to be valid and useful for integrating generative AI into projection mapping education, and for clarifying the necessary elements. The course should enhance the learners' understanding by integrating technical principles with practical applications. However, to maximize effectiveness, it is necessary to add specific application cases early on, design the process flexibly for non-specialists and various environments, and provide additional support for advanced technological problem-solving. (Conclusions) This study explored the feasibility of integrating projection mapping with generative AI in educational curricula, confirming that it is an effective method for innovating technical education. However, several research limitations were identified, including a lack of practical application experiments in educational settings, accessibility issues for non-specialists and specific teaching environments, and insufficient support at advanced technological stag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re is a need for practical application experiments in real educational settings, development of educational approaches that consider non-specialists and various environments, and enhanced systematic support for advanced technologie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education on realistic content production using generative AI.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발달기 아동의 놀이 공간 안에 스피드 놀이시설에 관한 선호 구조 연구 = A study on the preferences structure of speed play facilities in the play space of developing children : focusing on slides and swings : 그네와 미끄럼틀을 중심으로 양명월, 조택연 p. 11-22

캠퍼스 경관 치유성과 오감체험이 대학생의 생활환경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ampus landscape healing properties and five senses experience on college students' living environment satisfaction 한맹맹, 김철수 p. 23-32

인공지능기반(AI) 디자인 툴을 활용한 환경디자인의 디자인사고과정에 대한 가능성 연구 = Environmental desig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design tools feasibility study on design thinking process 싱스얀, 김철수 p. 33-49

국제주의 건축 표피에서 나타난 유클리드 기하학의 형태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Euclidean geometry shown in the surface of internationalist architecture : focusing on the architectural works of four architects participating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C.I.A.M.) : 국제회의(C.I.A.M) 참여 건축가 4인 건축 작품을 중심으로 박현아 p. 51-60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인증을 위한 BIM 템플릿 구성에 관한 기초연구 = A basic study on the configuration of BIM templates for the barrier-free living environments certification : focused on creating BIM models for architecture : 건축물 관련 BIM 모델 생성을 중심으로 홍사철, 김석태 p. 61-75

이용자 관점에서의 전통시장 보행환경 개선 연구 =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pedestrian environment in traditional market from the user's perspective : focused on Yeongdeungpo Traditional Market : 영등포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양림, 이석현 p. 77-87

몰입 이론을 통한 가상공간의 현실성 분석 연구 = Research on analyzing the reality of virtual space through immersion theory 주재의, 윤재은 p. 89-102

브랜드 공간의 헤테로토피아적 비일상 공간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heterotopian non-everydayness space characteristics of brand spaces 이예지, 이재규 p. 103-115

하이엔드 글로벌 가구 브랜드의 브랜딩 전략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branding strategy of high-end global furniture brands : focusing on online platforms : 온라인 플랫폼을 중심으로 양송이, 이정교 p. 117-131

생성형 AI 기술 기반 영상제작 프로세스 단계에 따른 작업 효율성 연구 = A study on efficiency in video production processes based on generative AI : focused on international advertising video cases : 국외 광고 영상 사례를 중심으로 고재형, 한정엽 p. 133-142

리미널 스페이스의 시각 인지와 선호에 관한 신경학적 연구 = A neurological study on visual perception and preferences in liminal spaces 서유화, 조택연 p. 143-154

코로나 전후 공공주택의 설계주제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nges in design topics of public housing before and after Corona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the winning entries of the Korean Public Housing Design Competitions : 대한민국 공공주택 설계공모대전 입상작 비교를 중심으로 사광균, 손동욱 p. 155-167

버추얼 월드 패러다임에 따른 아바타 유형 및 특성 연구 = A study on avatar types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virtual world paradigms : with a focus on representative platforms by generation : 세대별 대표 플랫폼을 중심으로 정혜균, 한정엽 p. 169-177

중국 유적 산업박물관의 공간디자인 특징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esign in Chinese heritage industrial museum 노박문, 최경란 p. 179-190

공공임대주택단지 외부공간의 공공성 지표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 고찰 =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to develop publicness indicators for the outdoor space of public rental housing complex 사광균, 손동욱 p. 191-204

시노그래피에 있어서 착시효과 장면성(Mise-en-scene) 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 Optical illusion effect scene property (mise-en-scen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irecting in scenography 오유진, 최익서 p. 217-229

중국 박물관의 증축에 의한 공간구조 및 위계 변화 분석 연구 = Analysis of changes in spatial structure and hierarchy due to expansion of Chinese museums 왕몽기, 이행우 p. 231-240

대학 교사(校舍)·교지 면적 분석 연구 = An analytical study on the area of university campus buildings and grounds 황성재 p. 241-249

21세기 공공디자인의 환경색채 특징 분석 = Analysis of environmental color characteristics of 21st century public design 김선영 p. 251-261

브랜드 자산관리 전략으로써 브랜드 레주버네이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brand rejuvenation as a brand asset management strategy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domestic spatial brand : 국내 공간브랜드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수현, 이정교 p. 263-274

생태친화적 적응성 환경 공간설계 요구기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criteria for eco-friendly adaptive environment space : focusing on the case of modern urban planning in China : 중국 현대도시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륙숙이, 최익서 p. 275-287

도시 경제 변화와 보행환경 친화성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urban economic changes and pedestrian environment friendliness : focusing on 14 cities in China : 중국 14개 도시를 중심으로 가지우, 이현성, 김주연 p. 289-298

지속가능성 관점에서 국제 눈 축제의 플레이스 브랜딩 (Place branding) 평가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lace branding evaluation of the international snow festival from the sustainability perspective 허효림, 윤지영 p. 299-313

생성형 AI 활용 프로젝션 맵핑 제작 교육 적용 방안 연구 =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generative AI in projection mapping production education 김종민, 한정엽 p. 315-323

생태 개념에 따른 북유럽 국가의 도시재생 특성 연구 =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regeneration in Nordic countries based on ecological concepts 정지호, 윤재은 p. 325-339

지하 고속도로 경계부 및 출구부에서의 운전자 시각인지 특성 연구 = A study on driver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at the boundary and exit sections of underground expressways 강영진, 이현성, 김주연 p. 341-349

청년 1인가구를 위한 공유주거 공간 특성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hared housing spaces for single households among young adults : focused on public housing for young single households promoted by SHCC : SH공사 청년 1인가구 공유사회주택을 중심으로 문자영 p. 351-363

도심형 실버타운 웰니스 공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rban silvertown wellness space 신유진, 김용성, 이남규 p. 365-377

한옥의 장소애착 요소 분석과 청소년 공공공간 디자인으로의 적용점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place attachment factors of Hanok and its application to the design of public space for youth 이효주, 이선정 p. 379-392

호텔 공용공간의 코리빙(Co-living)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iving spaces in hotel public spaces 이규홍, 박성춘, 조윤정 p. 393-404

BF인증 평가 항목 개선을 위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BF certification evaluation items : in the center of the Catholic Church in Suwon : 수원교구 가톨릭 성당을 중심으로 김찬용, 김용성, 송석재 p. 405-417

고령자의 심리적 안녕감 촉진을 위한 도시 포켓파크의 공간요소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spatial elements of urban pocket parks to promot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ldery : based on the theory of environmental psychology : 환경심리학을 중심으로 등패뢰, 김지은 p. 419-432

리모델링 공동주택 단위세대 평면 공간 구성의 변화 연구 = A study on changes in floor space composition of remodeled apartment units : focusing on cases in Seoul since 2010 : 2010년 이후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차유빈, 김용성, 이남규 p. 433-447

내러티브 인터랙션에 기반한 피지컬 미디어 스페이스의 조형성 연구 = The study on the formative of physical media spacephysical base on the narrative interaction 김일석 p. 448-460

현대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건축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architecture affecting modern society : with a focus on Frank Lloyd Wright's architectural case :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준, 김용성, 이남규 p. 461-474

인클루시브 디자인 관점에서의 통합적 뮤지엄 전시공간디자인 연구 = A study of integrated exhibition space design with disability from inclusive design perspective : focus on the visual impaired : 시각장애를 중심으로 백윤아, 최정아 p. 475-488

국내 소형 공공 도서관 설계 공모 작품에서 나타난 보이드 공간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void space design characteristics in Korean small public library architectural design competition works 표응석 p. 489-498

재활의료공간에서 가상현실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in rehabilitation medical space : centered on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경도인지장애 환자 중심 탕가, 윤성호 p. 499-508

체험마케팅의 관점에서 텍스타일 쇼룸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extile showroom on perspective of experiential marketing 양지윤 p. 509-517

LED 버추얼 프로덕션의 가상 공간 배경 방식과 스튜디오 유형에 의한 콘텐츠 제작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 production based on virtual space background methods of LED Virtual Production and studio types 이진서, 한정엽 p. 519-526

기하학의 형태적 특성을 통한 애도 공간 표현 연구 =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mourning space through geometric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 overseas memorial architecture since 1980 through Jacques Derrida's theory : 자크 데리다의 이론을 통한 1980년 이후 국외 메모리얼 건축 박현아 p. 527-538

SANNA의 공간디자인에서 나타난 서사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narrative design of SANNA architecture 이홍아, 윤성호 p. 539-549

텍스트마이닝 분석에 의한 코로나19 전후의 오피스 디자인 인식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general thoughts on office design before and after COVID-19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장신웨, 박수빈 p. 551-561

들뢰즈 철학을 바탕으로 한 '기관 없는 몸체'와 '매끈한 공간'개념의 커뮤니티 공공 공간의 '경계' 특성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boundary"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public space based on the concepts of "body without organs" and "smooth space" in Deleuze's philosophy 류솨이, 윤성호 p. 563-573

디지털 환경 경험에 따른 베이비붐과 MZ세대의 공간 선호도 차이 연구 =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spatial preference of baby boomer and MZ generation according to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 한경훈, 이선정 p. 575-584

도시의 탈신화적 공간원형 발굴을 통한 디자인 특성 연구 = A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through the excavation of the archetype space of the city : with the mythologies of Roland Barthes at the center : 롤랑바르트의 현대의 신화를 중심으로 박진원, 김지은 p. 585-598

XR 기술 기반 체험 콘텐츠의 유형 및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XR technology-based experience content : focusing on representative cases in National Museums : 국립박물관의 대표 사례를 중심으로 심현준, 한정엽 p. 599-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