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상담사의 역전이 관리와 활용능력을 향상시켜 보다 전문성을 갖춘 가족상담사로서의 발달을 돕는 역전이 관리 훈련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천성문 등(2017)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따라 총 8회기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가족상담사들 중 프로그램에 참가를 희망하는 1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으로 배치하여 사전, 사후 및 추후 시점에서 비교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상담자 자기성찰, 역전이 행동, 사례이해 능력 척도를 혼합설계변량분석(mixed ANOVA)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은 상담자 자기성찰 수준의 향상과 역전이 행동의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가족상담사의 사례이해 능력 향상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함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ADHD로 진단받은 자녀를 기르는 어머니들의 삶의 여정 = The life journey of mothers of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 a generic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 일반적 질적연구 방법의 적용 이지혜, 이선혜 p. 141-179

청년 커플을 위한 커플검진의 효과성 연구 = The effects of couple checkups for dating couples 박우철, 전보영, 강혜성 p. 181-209

가족상담사의 역전이 관리 훈련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Development of a family therapist'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training program and verification of its effectiveness 민경숙, 함경애, 양호연 p. 211-238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구조와 내용분석 = A structure and content analysis of solution-focused group counseling programs in Korea : focusing on research from 2007 to 2023 : 2007~2023 송은숙, 최중진 p. 271-301

“나의 어머니는 조현병입니다.” = "My mother is schizophrenic." : a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f a daughter experiencing a mother with schizophrenia : ‘조현병’을 앓는 어머니를 둔 자녀 경험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안소영, 김명찬 p. 239-270

결혼이주여성의 가정폭력·성폭력 상담원 양성과정 참여 경험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who participated in domestic and sexual violence counselor training 강진아, 최혜림 p. 303-324

신혼기 부부의 자기분화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수용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accept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newlywed couples : based on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형(APIM)의 적용 최옥경, 양혜정 p. 325-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