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마음챙김을 활용한 중학교 도덕과 수업의 현장 적합성 검토 = A study on the field suitability of middle school moral subject classes using mindfulness practices 김윤경 p. 1-15
대중문화와 현대미술을 활용한 시각문화 미술교육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using popular culture and contemporary art 김예림 p. 17-33
대학생 씨름선수의 마인드셋과 승부근성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Mindset and winning desire of college Ssireum players to self-elasticity 이동준, 임승현 p. 35-47
문제 만들기를 활용한 수업이 고등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 및 흥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roblem making classes on a high school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s and interests 안종수 p. 49-69
팀학습을 통한 우수인재양성 커리큘럼 연구 = Research on developing curriculum for excellent talent through team learning 이경미 p. 71-98
Investigating source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Engish self-efficacy = 한국 중학생들의 영어 자기효능감 요인에 관한 연구 Eunsoo Park p. 99-112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이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maternal self-efficacy on external problem behaviors in young children : focusing on the mediated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employment status :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취업여부의 조절된 매개효과와 매개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수오 p. 113-122
직장인의 운동 참여에 따른 감성지능, 회복탄력성, 정신적 웰빙, 지각된 스트레스, 직장 생활 만족도 차이 검증 = A study on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resilience, mental well-being, perceived stress, and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exercise of office workers 서재희, 허정훈 p. 123-136
학생주도 생명존중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교생의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연구 = Consensual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student-led life respect education program 우지향, 박승민, 신혜정 p. 137-155
문장의 수와 장르의 사회언어학적 관계 연구 = A study on sociolinguistic relationships between numbers of sentence and genres : based on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 체계기능언어학 기반 한정한, 차명희 p. 157-171
어린이집 교사의 직장 내 괴롭힘 경험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소진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ycare center teachers' workplace bullying experience and turnover intention 조혜진, 임성진 p. 173-185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활용한 유치원 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 및 예측요인 = Analysi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type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predictive factors : applying latent profile analysis 박미경 p. 187-203
중년 남성 직장인의 경력정체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areer plateau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middle-aged male office workers : focused on doubl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meaning in life : 자기효능감과 삶의 의미의 이중매개 효과 나혜성, 윤성민 p. 205-217
간호대학생의 공감교육을 포함한 호스피스 완화간호 교육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 삶의 의미, 호스피스 완화간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a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empathy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on empathy, the meaning of life, and perception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정진옥 p. 219-232
초등영어 보기(viewing) 학습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실태 연구 = A survey on the learner perception of viewing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이주은, 이재근 p. 233-256
과정 중심 평가가 반영된 인공지능 기초 수업이 고등학생의 융합적 사고력, 협력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sics classes reflecting process-based evaluation on high school students' integrative thinking ability and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 focusing on data and machine learning units : 데이터와 기계학습 단원을 중심으로 이동준, 김승현 p. 257-277
유치원 원장의 진정성리더십과 유아교사 조직몰입 관계에서 동료교사 및 원장 신뢰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peer teachers and director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고정리 p. 279-294
노인의 교육과 직업에 따른 디지털 역량의 관계에서 사회활동 참여의 조절효과 검증 = Verific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competency according to education and occupation of the elderly 김미례 p. 295-309
문제중심학습이 간호학생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self-determined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problem solving process in nursing students 윤미정 p. 311-322
어머니와 유아의 상호작용과 학습준비도의 관계에서 언어⋅문해 능력과 수리적 사고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s of language, literacy skills and mathematical th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infant interaction and learning readiness 홍찬영, 황혜정 p. 323-338
대학생의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social anxiety in college students : mediating effect on post-rumination moderated by self-compassion : 자기자비로 조절된 사후반추의 매개효과 유용식, 박승민 p. 459-471
구체적조작물을 활용한 수학 수업이 중학생의 수학 성장마인드셋, 과제가치, 과제비용,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ath classes using specific manipulations on the mathematics growth mindset, task value, task cost, and mathematical propens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김다현, 한천우 p. 339-356
상담자의 역전이 관리능력이 다문화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성찰의 매개 효과 = The mediation effect of counselor's self-reflection in the relationship of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nd multicultural attitude 정은지, 조한익 p. 357-373
실시간 화상영어 교과의 문제점 분석 및 ERRC 가치혁신 전략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problems in real-time online English subject and ERRC value innovation strategy : focusing on university A : A 대학을 중심으로 박은실, 이상호, 황화경, 송지훈 p. 375-395
일반계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학업열의, 진로적응력 간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al positive nurturing attitude, self-esteem, academic engagement and career adaptability 김수란 p. 397-413
Ivan Illich의 교육개발협력 사상에 근거한 UN 글로벌 교육의제의 비판적 고찰 = A critical review on the UN global education agenda based on Ivan Illich's educ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deas 황자옥, 김영환 p. 415-433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on teacher efficac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aptitude : 교직적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수연, 김남연 p. 435-446
청소년의 그릿과 미래진로성취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grit and future career achievement :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 진로적응성의 매개효과 김나래 p. 447-457
코로나19 상황 보육교사의 어려움에 대한 개념도 연구 = The study on the concept mapping of the difficulties of day care teacher in the COVID-19 situation 이보미, 최규하 p. 473-488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parents'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their academic self-efficacy : exploring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gri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 그릿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병렬다중매개효과 이현주, 고명주, 최보영 p. 489-502
방과 후 지도강사들의 효과적인 악기 교수전략에 대한 인식과 방과 후 음악교육 발전을 위한 제안 = After-school instructors perception of effective instrumental teaching methods and suggestions for the advancement of after-school music education 김보경 p. 503-523
대학생 학습역량 척도 타당화 연구 = Validation study of college student learning competency scale : focusing on the case of P university : P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채다영, 이슬이, 이진령 p. 525-542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기반한 국어과 의사소통 역량 단원 실행 연구 = Action research on enhanc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cative competency based on understanding by design : focusing on utilizing generative AI for ‘discussing’ : 생성형 AI를 활용한 '토의하기' 중심으로 유정오 p. 543-562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adult attachmen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 마음챙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나예 p. 563-570
중세국어 교육의 내용과 자료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contents and materials of Middle Korean language education : based on the ‘content selection criteria’ and ‘material selection criteria’ : '내용 선정 기준' 및 '자료 선정 기준'을 바탕으로 고경재 p. 571-590
대조언어학적 관점을 통한 베트남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비음화 오류양상 고찰과 시사점 = Examination of nasalization error patterns and implications for Vietnamese-speaking Korean learners through a contrastive linguistics perspective 강수정, 쩐반뜨 p. 591-615

수업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관한 초⋅중등교사의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use generative AI in the classes 김인주, 김귀훈 p. 617-626
학교 부적응 청소년이 인식한 부모-자녀 의사소통에 관한 주관성 연구 =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parental child communication perceived by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 focusing on Q-methodology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서진석, 김유천 p. 627-647
성인여성의 학습공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Qualitative case study on adult women's learning spaces experience 백정숙 p. 649-666
학교폭력 가해행동 경험이 초등학생의 자존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behavior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a propensity score analysis : 성향점수를 활용한 분석 양곤성 p. 667-680
핵심역량과 교과수업 융합의 학습자 중심 수업 설계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learner-centered instructional design for integrating key competencies into subject matter education : focusing on self-management competency and food and cooking subject matter class in vocational high school : 자기관리 역량과 특성화고 식품⋅조리 교과수업을 중심으로 조순호, 김현진 p. 681-700

영유아 교사의 놀이신념 관련 연구동향 분석 = A study trend analysis on play belief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권은정 p. 701-717
한 중년기혼여성의 자기분화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An autoethnography on the self-differentiation experience of a middle-aged married woman 허윤정, 김명찬 p. 719-736
대학 원격수업 컨설팅 및 효과성 평가 연구 = Study on consulting and effectiveness evaluation for the distance education of university : S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홍수민, 민혜리, 이다연 p. 737-747
수업 관련 요인은 청소년의 자기결정성동기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 Changes i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f Korean adolescence : latent profile transfer analysis and predictive effect : 잠재전이분석 활용 장희선 p. 749-770
메이커 교육을 적용한 과학 영재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ce gifted education programs using maker education : focusing on chemical cell : 화학 전지를 중심으로 박노원, 유선아, 강성주 p. 771-784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a maternal parenting self-efficacy and father involvement in childcare on mothers' parenting stress 김도은, 이희영, 최태진 p. 785-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