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압수는 점유의 이전이고, 점유는 사실상의 상태여서 점유자인 소지자와 보관자는 피압수자가 된다. 관념적 권리인 소유권에 근거한 소유자는 소유권의 내용인 사용권이 점유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피압수자에 준해 참여권자가 될 수 있다. 한편, 형사소송법 제121조, 제123조 내지 제124조, 제129조의 체계적 해석상 피압수자는 제121조의 참여권자에 해당한다. 비록 점유자와 소유자가 모두 참여권자가 될 수 있으나, 점유자의 참여권은 점유 상태 그대로 점유가 이전되는지를 감시할 권한인 반면, 소유자의 참여권은 그 소유권을 보호하기 위한 절차적 권리이므로 그 소유권이 형법상 보호대상으로 평가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소유권은 물건을 전제로 성립하므로 전자정보의 경우에 소유권에 대응한 개념으로서 관리처분권을 창출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처분자의 참여권이 인정되려면 그 관리처분권이 형법상 보호대상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물건과 전자정보의 참여권에 관한 대법원의 판결들은 결과적으로 타당하나, 형사소송법의 압수 집행절차에 관한 규정들의 관계를 전체적으로 설명하지 아니한 채 결론에 이른다. 결국 이로 인해 압수 집행절차의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지 못하고, 그 책임을 수사기관에 부당히 전가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현행법상 사이버스토킹 처벌의 제문제(諸問題) = Problems of cyber stalking punishment under the current law : cyberbullying and YouTubers' posting of personal information : 사이버불링, 유튜버의 개인정보 게시행위 중심으로 소재환 p. 7-44

회복적 사법을 위한 형사조정제도 개선 방향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riminal mediation system of restorative justice 장송이 p. 45-86

형사공탁에 대한 양형상 쟁점 연구 = A study on the sentencing issues for criminal deposit 최익구 p. 87-117

피압수자 개념의 정립을 통한 압수 집행절차의 체계적 이해 = The systematic interpretation of seizure enforcement proceedings by defining the seized person concept 이성일 p. 118-162

전문법칙 적용사례 연구 =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hearsay rule 한제희 p. 163-209

수사구조의 모델과 헌법상 검사유보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investigative structure model and constitutional prosecutor reservation 김성훈 p. 210-245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상 불공정거래 규제에 관한 법적 연구 = A legal study on unfair trading regulation under the Virtual Asset Act : focusing on the secondary legislation : 해석론상 쟁점 및 2차 입법 필요성을 중심으로 임동민 p. 249-281

특정중대범죄 피의자 등 신상정보 공개에 관한 법률 개정안 제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oposition of the amendment to the Act On The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Of Specific Serious Crime Suspects 정동혁, 이관희, 손금주, 유광재, 이상진 p. 282-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