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6학년 학생의 다중지능을 측정하기 위한 자기보고식 검사를 개발하고 검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먼저 다중지능 측정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다중지능의 조작적 정의와 문항 개발을 위해 전문가 패널 13명에게 2회기의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여 155개의 예비검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온라인 조사방식으로 375명에게 예비검사를 실시하고 문항분석을 거쳐 본검사에 활용할 122문항을 선정하였다. 1,062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였고 문항 양호도 검증과 검사의 실용성을 고려하기 위한 연구진의 회의를 통해 최종 97문항을 확정하였다. 최종 개발된 검사는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다중지능 8개 영역의 신뢰도는 .811에서 .878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본검사 대상자 중 87명에게 초등학생용 진로개발역량검사를 시행하여 유사 영역을 측정하는 역량과 지능 간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역사기반 창의적 성취 교육과정 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history-based creative achievement educational models and programs 배희라, 이경화 p. 1-15

문제 이해 역량을 위한 창의적 문제해결(CPS) 모형 기반 인공지능 융합 수업 모형(AI-CPF) 개발 = A development study of an AI convergence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creative problem solving(CPS) model for problem formulation competency 이창권, 노하은, 김민정 p. 17-43

영유아 문제행동지도를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positive behavior support program for teachers in guiding problem behaviors in young children 이희경, 표정민 p. 45-69

청소년기 그릿의 잠재집단 분류와 학습자 특성의 예측 = Classification of latent groups of grit in adolescence and prediction of learner characteristics 김진철 p. 71-85

초등고학년 다중지능 검사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ple intelligences test for upper elementary students 태진미, 박소연, 김승혁, 박경미, 김정혜 p. 87-105

아동·청소년기 생활시간과 학업성취 인과관계 종단분석 =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daily activities during youth and academic achievement 곽수란, 김설화 p. 107-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