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In Japan, the shortage of local politicians has become a nationwide issue. To address this problem, appointing individuals from demographics that have not traditionally pursued political careers could be considered. However, it is rare for current politicians to designate women as their successor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selection of successors,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local politicians in Japan. We surveyed local Japanese councilor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led them to nominate successors. The results revealed that Japanese local councilors tended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nominating women as successors. However, they also believed that this would not be acceptable to their supporters. This study suggests that Japanese local councilors do not inherently discriminate against women, but refrain from nominating them for other reasons.
Our findings revealed that Japanese local politicians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s appointing women as their successors. At the same time, these politicians perceive that their supporters are reluctant to accept women in these roles. This study suggests that Japanese local politicians do not personally discriminate against women but refrain from appointing them due to perceived resistance from their supporters.
이 연구는 일본 지방의회에서 여성 의원이나 후보자가 소수인 배경과 구조적 한계를 분석한 논문이다. 실제로 일본 지방의회선거에서 경쟁률이 감소하고 있다. 선거가 치러지지 않고 후보자 모두가 당선되는 지방의회도 2015년 89개에서 2023년에는 123개로 증가하였다. 전체 지방의원 중에서 30.3%가 선거를 거치지 않고 무투표 당선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후보자 부족 현상이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도 여성 의원 수는 늘어나지 않고 있다. 후보자 부족 현상은 보수가 지나치게 적고, 낙선 리스크가 크기 때문이다. 더구나 지방선거에서는 중앙정치에서 나타나는 정당 경쟁이 나타나지 않는 점도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 정당이 후보자를 공천하지 않는 이유는 정당 불신과 관련되었지만, 후보자의 선거 자원 동원과 관계가 깊다. 즉, 선거에 필요한 재정적 자원, 정치적 동원을 정당이 아니라 후보자 개인이 부담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지방의회에서 여성 후보자가 적은 구조적 원인이다. 일본에서 지방의원은 지역(커뮤니티) 대표의 성격이 강하다. 지역사회가 남성 중심으로 운영되므로 대표 인식도 남성 중심이다.
현재와 같은 구조 속에서 여성 후보자가 증가하기 위해서는 현직 남성 의원이 여성 후보자를 자신의 후계자로 지명해야 한다. 그러나 후원회 조직이 여성 후보자를 후계자로 인정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여성 후보자를 후계자로 인정하도록 설득하는 과정에는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므로 남성 고령자 중심의 정치적 충원 구조 속에서는 비용과 리스크 회피를 위하여 남성 후보자가 지명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는 여성 후보자의 의회 진출을 저해하는 현실적인 장벽으로 존재하고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