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국외와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세계시민교육의 현황과 사례를 살펴보고 세계시민교육의 국내 확산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근간을 둔다. 세계시민교육은 글로벌 교육 의제의 핵심 의제 중 하나로, 국내 및 국제 사회에서는 세계시민교육의 확산에 요점을 두고 있다. 2019년 9월 외교부와 교육부의 주최로 한국에서 개최된 세계시민교육 포럼 역시 세계시민교육 확산을 위한 논의 중 하나이다. 특히 세계시민교육은 국제사회의 주요 의제로서, UN에서 시행했던 다양한 분야의 교육이 통합된 형태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시민교육 현황과 실천 사례를 중심으로 아일랜드, 독일, 폴란드, 스웨덴, 네덜란드의 세계시민교육 실천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이와 비교하여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현황 및 사례를 살펴보았다. 한국의 세계시민교육은 한국 사회에서 꾸준히 실천되어 온 교육운동의 성격이 강한데, 유럽에서의 세계시민교육과 달리 세계시민교육이 온전히 정부 주도로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대신에 대외무상원조 기관인 KOICA 및 민간단체협의회인 KCOC를 중심으로 학교에 강사를 파견하는 교육 사업이 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다양한 NGO 단체에서도 자체적으로 교육을 시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능동적으로 교육기관 간에 자료를 공유한다거나 통합 교육교재 개발을 위한 협업은 여전히 충분하지 못하다는 것은 한국의 세계시민교육의 교육 효과성 측면에서의 다양성을 충분히 발현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인 교육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월드비전 세계시민교육, KOICA 세계시민교육 등 각 기관별 교육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고, 세계시민교육의 국내 확산을 위한 방안으로 2가지의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세계시민교육 공식 교육기관 설립, 둘째, 이원화되어 있는 다문화교육, 국제이해교육, 인성교육을 통합형 세계시민교육으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가지의 전략을 제시하고 각각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Consideration of domestic expans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세계시민교육 국내 확산 방안 고찰 : 세계시민교육 강사 대상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focusing on case studi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structors Ae Jin Kim p. 185-208

아랍에미리트로의 국제이주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migration to the UAE 김지인 p. 85-102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한국 문화관광산업 가치 창출 모색 = Post-corona era, globalization of Korean digital cultural tourism : search for collaborative value creation of 'Korea-ASEAN 6' tourism :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아세안 6의 협력 분야 발굴을 중심으로 정혜영 p. 121-145

中國成人終身學習者參與動機及自我主導學習對主觀幸福感的影響 = The influence of engagement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subjective well-being in adult lifelong learners in China : a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participation time : 參與時間的調節中介效應 李泳村, 임명희 p. 41-53

텍스트 마이닝과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북한 미디어 기반 신흥안보 동향 분석 = Analysis of emerging security trends based on North Korean media using text min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김태은, 지성태 p. 167-184

培养大学生数字素养, 构建在线教学新形态 = Developing digital literacy for college students and establishing a new type of online lecture 马晶, 金星子 p. 73-84

중국 신선식품 O2O플랫폼의 서비스 품질요인이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factors on reuse intention of fresh food O2O platforms in China : mediating effects of economic and emotional value : 경제적 가치와 감성적 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소창, 이명창 p. 1-23

한국의 주식시장과 채권시장 간 관계 변화 분석 = A study of the changing relationship between the stock and bond markets in Korea 이선호 p. 147-165

中韩沿海地区地方政府合作发展新路径研究 = Study on the new path of local government co-operation and development in the coastal areas of China and South Korea : an analysis of rootedness based on Guangdong's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jects : 基于广东国际合作项目的扎根分析 李志行, 赖玉聪 p. 55-72

근대시기 한일 편지쓰기 교재에 나타난 위로 담화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consolation discourse in Korean-Japanese letter writing textbooks in modern era 김수정, 마츠키 료코 p. 103-119

Comparative analysis of hydrogen fuel cell vehicles between Korea and China through Porter's diamond model = 다이아몬드 모델(Diamond Model)을 활용한 한-중 수소연료전기차(HFCV) 비교연구 : 엔트로피 방법(EWM)을 중심으로 : focused on entropy weighting method(EWM) Weisen Gao, Changbae Seo p. 25-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