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경상북도의 사회 및 공간 구조적 요인이 화재오인신고에 미치는 영향분석 = Analysis of the impact of social and spatial structural factors on fire misidentification report in Gyeongsangbuk-do 현문환, 이세명 p. 1-16
남성 버츄얼휴먼의 특성이 소비자태도와 불쾌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male virtual human characteristics on consumer attitude and discomfort : focusing on Ryuid : 류이드를 중심으로 박연옥 p. 17-33
노인 낙상사고의 근접오류 및 적신호사건에 대한 분석 = Analysis of near miss and sentinel incidents in elderly fall accidents : using the Korean Patient Safety Reporting Learning System data(2020∼2022) : 환자안전보고학습시스템 데이터를 활용하여(2020∼2022년) 김혜진 p. 35-46
노인수형자에 대한 인지강화프로그램의 실태와 방향 = The status and direction of the cognition reinforcement program for elderly prisoners 이동임, 천정환 p. 47-64
대학생의 자기통제감이 SNS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elf-control on SNS overdependence in university students 박지경, 김지온 p. 65-76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상대적 박탈감, 대인관계능력이 SNS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elf-esteem, relative depriv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on SNS fatigue 김영미 p. 77-88
방위산업체 종사자 안전관리실태에 관한 실증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safety management of defense industry employees 김병현, 이준원, 윤현웅 p. 89-98
아동·청소년기 학업성취와 자존감이 행복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인과관계종단분석 = Longitudinal analysis of causality among academic achievement, self-esteem, happiness, and suicidal ideation from child to adolescent : latent growth model : 잠재성장모형 분석 곽수란, 김미정 p. 99-114
의료봉사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십, 전공만족도 및 봉사활동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 of healthcare volunteer program on nursing students' nursing professionalism, self-efficacy, self-leadership, major satisfaction and volunteer activity satisfaction 전미양, 유미, 정소희, 윤치양, 백원희 p. 115-125
조선소 안전환경 구축을 위한 AIoT 기반의 CCTV 3D영상 및 증간현실디자인기술[실은 증강현실디자인기술] 구현 = Implementation of AIoT-based CCTV 3D video and augmented reality design technology to build a safe environment for shipyards : focus on technical services for disaster prevention : 중대재해방지를 위한 기술서비스 중심 윤종화, 주용택, 윤달환 p. 127-147
한·몽 사이버범죄의 현황과 비교연구 = Korean-Mongolian cyber crime and comparative study 공정식 p. 149-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