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연구는 진로연계교육이 각 개별 교과 교육과정에 전폭적으로 반영되는 것에 맞춰 진로연계교육의 실질적 개념과 국어과에서의 반영 양상을 살피고 특히 진로집중학기로 명명된 고등학교 1학년 1학기에 국어 수업에서 진로연계교육이 실질적으로, 그리고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향을 예시를 통해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 문서에서 나타난 진로연계교육의 개념과 반영 양상을 분석하였다. 진로연계교육에서의 ‘연계’는 진로와의 연계, 학교급 간의 연계, 그리고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의 연계로 분석할 수 있으며 진로와의 연계에 집중한 기존의 ‘교과 연계 진로교육’과는 변별된다. 그리하여 진로연계교육의 중요한 두 가지 의미는 ‘학교급 전환기의 교과 연계 및 학습 적응’, ‘학습자의 진로 의식과 진로 설정 능력의 함양’으로 설명할 수 있으나, 현재 국어과에서는 기존의 교과 연계 진로교육의 관습을 따르며 ‘진로 탐색’ 부분에 초점화가 맞추어져 있다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또한 진로연계교육 반영에 있어서 영역별로 편차가 있는 것도 발견되었다. 문법과 관련해서는 진로연계교육이 전혀 등장하지 않으며, 듣기·말하기, 쓰기 등은 진로 탐색에 도움이 되는 의사소통 기능으로 보고 주로 ‘도구’로 접근하고 있는 반면, 읽기와 문학에서는 정보 습득 및 안목 확대와 관련된 주제 탐색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교과 연계 진로교육과 차별화되는 진로연계교육을 교수·학습 차원에서 구현하기 위해 그 구체적인 방향을 설정하고 예시를 제시하였다.
In accordance with the fact that career-linked education is fully reflected in the curriculum of each individual subject,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concept of career-linked education and aspects of reflection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Particularly,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called the career-intensive semester, we aim to derive teaching and learning directions in which linked education can operate practically and effectively.
Therefore, we analyzed the concept and reflection aspects of career-linked education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document. “Connection” in career-linked education can be analyzed as a linkage between career paths, between school levels, and between subjects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it is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subject-related career education” that focuses on linkage with career paths. Hence, the two essential meanings of career-linked education can be explained as “curriculum connection and learning adaptation in the transition period of school level” and “cultivation of learners’ career consciousness and career-setting ability.” However, the existing practice of subject-linked career education has been established 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Nevertheless, the focus was on “career exploration.” Additionally,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reflections on career-linked education by area. Regarding grammar, career-linked education does not appear at all, and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are viewed as communication skills helpful in career exploration and are mainly approached as “tools,” whereas reading and literature are used to acquire information and expand one’s perspective. It can be said that it is being approached by exploring topics linked to.
Thus, in this study, specific directions were set, and examples were presented to implement career-linked educ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existing subject-linked career education at the teaching and learning levels.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