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최근 제정된 국내입양제도와 보호출산제도 사이에서 아동 인권의 사각 지대를 살펴보려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입양에 관한 특별법」과 「위기 임신 및 보호출산 지원과 아동 보호에 관한 특별법」을 중심으로 상충하는 조항을 분석하였다. 또한, UN아동권리협약과 대안양육지침 등 국제인권조약을 기준으로 아동 권리 침해 사항을 검토하였다. 두 법은 법의 목적과 국가의 책무, 양자가 될 아동의 결정, 출생신고 의무 및 입양에 대한 친생부모의 동의, 결연, 입양 철회, 입양 곤란 아동에 대한 보호조치, 입양 정보의 공개 등에서 아동 인권을 침해할 수 있는 요소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연구자는 두 제도의 윤리적 쟁점을 살펴보고 법적, 실천적 제안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human rights blind spots for children within the recently enacted ‘domestic adoption system’ and ‘Anonymous birth system’ in South Korea. To this end, the research focuses on analyzing conflicting provisions in the "Special Act on Domestic Adoption" and the "Special Act on Support for Crisis Pregnancy, Protected Birth, and Child Protection," both established in 2023. Additionally, the study examines potential infringements on children's rights based on international human rights treaties such as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and the “Guidelines for the Alternative Care of Children”. The analysis identified several elements in the two laws that could potentially violate children's rights, including the purpose of the laws, the responsibilities of the state,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children to be adopted, birth registration obligations, the consent of biological parents for adoption, matching processes, the revocation of adoption, protective measures for children difficult to adopt, and the disclosure of adoption information.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examined the ethical issues of the two systems and provided legal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생성 인공지능과 윤리교육 =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thics education 김국현 p. 1-27

보살, 포스트휴먼의 이상적 인간상 = Bodhisattva, ideal human image of posthuman 장승희 p. 29-50

남명 조식의 「신명사도(神明舍圖)」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Nammyeong Cho Shik’s “Shinmyeongsado-Schema (神明舍圖)” 이상호 p. 51-74

칸트 윤리학에서 도덕 감정의 문제와 도덕 교육적 시사점 = The issue of moral emotions in Kant's ethics moral education implications : focusing on changes in perspective after criticism and criticism : 비판기와 비판기 이후 관점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두연 p. 75-96

인공지능 돌봄 로봇의 윤리적 돌봄 가능성 검토 = Examining the ethical care possibilities of AI care robots : focusing on Virginia Held’s perspective on care ethics : 버지니아 헬드의 돌봄 윤리 관점을 중심으로 유경아 p. 97-126

생성형 인공지능의 도덕적 추론 가능성에 대한 윤리적 고찰 = Ethical considerations on the possibility of moral reasoning in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백승민 p. 127-145

입양제도와 보호출산제도상 아동권리의 사각지대 = Children rights blind spots in the system of anonymous birth and adoption : focusing on the Special Act on Domestic Adoption and the Special Act on Support for Crisis Pregnancies, Anonymous Births, and Child Protection : 제정 「국내입양에 관한 특별법」과 「위기 임신 및 보호출산 지원과 아동 보호에 관한 특별법」을 중심으로 조소연, 전민경 p. 147-178

평화 지향적 통일교육과 안보 지향적 통일교육의 연계성 = A study on the connectivity between peace-oriented unification education and security-oriented unification education 김병연 p. 179-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