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권번예맥 세우는 춤의 품격 : <김미선의 춤_향(香)> 글: 윤지현 p. 21-24
"발레 뤼스(Ballet Russes)의 초기 활동에 나타난 예술적 특성 연구 : 벨 에포크 시기를 중심으로" 참관기 : 댄스&미디어연구소 제 55회 콜로키움 글: 전하윤 p. 25-27
김백봉 서거 1주기, 안나경 춤꾼과의 대화 [인터뷰]. 上 [인터뷰이]: 안나경 ; 인터뷰: 김남수 p. 28-33
독립무용가들의 숨은 역할, 자본주의 사회에서 순수예술 보호하기 글: 신채은 p. 34-37
정글의 프로세스를 듣다 : 국립현대무용단 <정글>의 안무가 김성용, 드라마터그 김미영 [인터뷰] [인터뷰이]: 김성용, 김미영 ; 인터뷰: 윤상은, 신채은 p. 38-43
시민들과 더 가까이 나누는 전통춤 : 천안시립무용단 신임 예술감독 박종필 [인터뷰] [인터뷰이]: 박종필 ; 인터뷰: 배지현 p. 46-48
현대인의 삶, 작업 그 안에서 : 2024 발레블랑 정기공연 시향(試香) 글: 이정은 p. 49-51
이것은 새로운 방식의 계보쓰기다 : 콜렉티브 매듭 첫 번째 프로젝트 <몸 풀기> 글: 김수영 p. 52-55
발레 안무, 이제는 재미있는 숙제를 해야 할 때 : 해니쉬발레의 <되돌이표 : 두 개의 숨>, 아함아트프로젝트의 <Never grow up> 두 작품에서 나타난 발레 사용법 글: 윤상은 p. 58-59
샤먼의 눈 : 보는 현실과 보이지 않는 현실 사이 글: 김종길 p. 60-64
<이토록, 비(雨)의 가시화(可視化) 효과와 <정글>의 몇 가지 시도(試圖) : 임지애 안무 <이토록, 비(雨)>와 국립현대무용단 <정글> 글: 이상일 p. 66-68
한국무용의 다양성 생태계를 가꿔가는 소극장 공연들 : 제38회 한국무용제전 소극장공연 글: 김명현 p. 69-71
부산에서 부는 신명의 바람, 신명의 곡절은 무엇인가 글: 김남수 p. 72-75
강선영 춤 유산의 의미 다져 : "강선영 탄생 100주년 명가 강선영 불멸의 춤" 글: 윤지현 p. 76-79
안애순, <척> : 몸'들'의 서사를 향해 글: 김민관 p. 80-82
미술관에서 춤추기 글: 박성혜 p. 83-87
윤석운(尹夕雲), 장단(長短)을 논하다 p. 90-94
틈새를 내는 선의 움직임 [서평] 글: 윤지현 p. 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