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국가안보는 산소와 같다 허남성 p. 4-12
회색지대 분쟁 대응을 위한 준(準)군사 세력의 기능 = The utility of paramilitary forces in dealing with gray zone conflicts : focused on the role of coast guard at East Asian maritime disputes : 동아시아 해양 분쟁에서 해양경찰의 역할을 중심으로 김재엽 p. 15-36
미 해군의 한국전쟁 항공작전. 上, 미 해군·해병대 전투기의 공대지 항공작전을 중심으로 장호근 p. 37-69
드론을 활용한 전쟁사와 우-러 전쟁을 통해 바라본 미래 드론 발전방안 연구 = A study on future drone development through the history of war using drones and the war of Ukraine and Russia 이기진 p. 70-102
한반도를 위협하는 주변국 위성의 재밍을 위한 위성전파 분석시스템 연구 = A study on the satellite radio analysis system for jamming the satellites of neighboring countries threatening the Korean Peninsula 이용식, 이승혜, 이대성 p. 103-132
6·25전쟁기 지평리 전투의 성격과 전쟁사적 의의 = Analysis of the battle of Jipyeong-ri during the Korean War(1950-1953) and the significances of war history 강창국 p. 133-157
한미동맹 성립 과정에서 나타난 한미 양측의 대립과 협력 = Confront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ROK-US alliance : focusing on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2-1954, Korea, Vol. XV :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2-1954, Korea, Vol. XV 기록을 중심으로 계용호 p. 158-182
병력(장교·부사관·병) 충원율 급감의 종합적 원인분석과 해소를 위한 법규 개혁 소요 검토 =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ause of the sharp decline in the recruitment rate of troops and a review of the need for legal reform of resolve it 김정기 p. 183-206
「국방혁신 4.0」과 연계한 한국형 미래 업무 정립을 위한 제언 =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Korean-style future work in connection with 「Defense Innovation 4.0」 : focusing on case analysis of the U.S. Army Future Command : 미 육군 미래사령부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김영은, 박무춘 p. 207-231
선행연구, 주요국의 원칙, 작전환경 변화 등을 고려한 육군 임무형지휘 원칙 적용성 탐색 = Considering prior research, principles of major countries, and changes in operational environment, etc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army mission command principles 이훈 p. 232-253
신임(新任) 대만총통 취임 후 양안관계 전망과 對한반도 안보 함의 = Prospects for cross-strait relations and implications for security on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inauguration of Taiwan's president Lai Qing-De 조현규 p. 254-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