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논문은 1930년대 최병화가 번역한 작품의 목록을 구체화하고 원작과 번역의 경로를 밝히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하였다. 최병화는 식민지 시기에만 200여 편의 아동문학을 발표한 걸출한 작가였으며 번역 활동도 활발하게 펼쳤다. 그중 이 논문에서는 세 가지 신문 연재물에 주목하였다. 첫째, 최병화가 번역한 「15세 소년의 세계일주기」가 덴마크 작가 팔레 훌드의 기행문임을 밝혔다.

이 기행문은 1928년 신문사의 ‘세계여행’ 기획에서 출발한 것이었다. 저자는 44일간 세계를 여행하며 보고 들은 것을 기술하였고 다양한 세계의 문화를 알리는 데 주력하였다. 둘째, 최병화가 『조선일보』에 연재한 「세계문예동화집」에 주목하였다. 이 기획에는 총 6편의 단편소설이 수록되어 있었다. 안톤 체호프, 오스카 와일드, 안데르센 등 이름난 문인들의 작품이 선정되었다는 점은 특기할 만하다. 최병화는 유명 문인의 단편소설을 번역하여 ‘세계 문예’로서의 아동문학을 제시하였다. 셋째, 최병화는 마크 트웨인의 『왕자와 거지』를 번역하여 ‘모험 소설’의 확장을 꾀했다. 그는 아동 독물(讀物)에 초점을 두며 경어체를 구사하고 잔혹한 내용을 삭제하였다. 내용 면에서는 빈민층 아동의 삶이 얼마나 취약한지 고발하는 성격도 지니고 있었다. 이상의 세 가지 번역물은 모두 일역본의 존재로 가능한 것이었다. 번역 경로로 스즈키 미에키치(鈴木三重吉), 기쿠치 간(菊池寬), 코지마 마사지로(小島政二郞) 등 일본 아동문학가의 번역을 저본으로 삼았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는 각 텍스트가 아동 중심의 독물로 인식되는 밑바탕이 되었다. 궁극적으로 이 논문은 최병화의 번역이 탄생하기까지의 경로를 실증적으로 밝히고, 번역된 아동문학의 다채로움을 확인한 의의가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남⋅북한어 품사 통용 현상 비교 연구 = The multicategory of word class in Korean and North Korean languages : a comparative study 서로 p. 7-39
주제 설교 담화에 나타난 관여 유발 전략 연구 = A study of strategies for eliciting involvement in topical preaching discourses 이유미 p. 41-75

국어사전의 합성어 처리에 대한 분석 = Analysis of the presentation of compound words in Korean dictionaries : focusing on "X+값" compound words from Pyojun Korean Dictionary : 《표준국어대사전》의 ‘X+값’류 합성어를 중심으로 정희창 p. 77-99
<화정선행록>에 나타난 딸 입양 서사의 의미 = Adopting a daughter in the Hwajeongseonhaengrok 류선희 p. 103-126
구미동천과 ‘九美 十八景’에 담긴 인문학적 의미와 천인합일 글쓰기 = Humanitarian meanings of Gumidongcheon and Gumisipalgyung and Cheoninhabil writing 이학주 p. 127-150
최병화의 아동문학 번역 = Choi Byeong-hwa's transl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 focusing on newspaper serials in the 1930s : 1930년대 신문 연재를 중심으로 김미연 p. 153-188

지역 정체성 정립/형성과 ‘지역 내러티브’ 및 ‘지역 문학’ = The regional identity and the regional narrative/literature : based on the case of Uijeonbu : ‘의정부 지역 정체성’과 ‘의정부 문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준현 p. 189-215
초등 KSL 초급 학습자 대상 모어 교수자활용 수학 교과 적응 프로그램의 효과성 =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a curriculum adaptation program for elementary beginning KSL learners using native language instructor : focusing on the late immersion math curricular program : 후기 이머전 프로그램을 응용한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이인원, 강남욱 p. 219-246
한국어 교육을 위한 ‘사다’ 유의어군 연구 = Synonyms of Sada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ing on Sada, Guipada, Gumaehada, Maryeonhada, and Jangmanhada : 사다, 구매하다, 구입하다, 마련하다, 장만하다를 중심으로 최지희 p. 247-279
예술 분야의 한국학 온라인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 조사 및 설계 방안 연구 = Designing an online Korean studies course in the arts for the Asian region : a needs assessment study :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김수은, 최지영 p. 283-314
중국어권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지형도(Cultural Mapping Web) 연구 = Cultural mapping web of Chi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주월랑, 강병헌 p. 315-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