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3~5세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측정도구의 문항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고찰 및 선행 연구된 도구 분석을 통하여 구성요인 및 문항을 도출하였고, 유아교육, 아동심리 등 학계 및 현장 전문가 20명을 델파이 패널로 구성하여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정서발달 측정문항에 대한 검증은 선행연구를 통해 추출된 예비문항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고 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 후 설문내용을 분석하여 예비문항을 재구성하여 2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든 문항의 타당도, 중요도, 내용 타당도, 합의도, 수렴도가 양호하여 최종적으로 자기인식 8문항, 정서인식 및 표현 20문항, 정서조절 13문항, 사회적 인식 14문항, 대인관계기술 14문항 총 5개 구성요인과 69문항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가 유아교육기관에서 경험할 수 있는 상황과 이해하기 쉬운 문항으로 도출한 후 델파이 분석을 통해 타당한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추후 측정 도구의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 검증을 포함한 표준화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아동학대와 자아존중감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and self-esteem : the mediating effects of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 집행기능 곤란의 매개효과 이아연, 김리진 p. 1-21

아동의 감각추구성향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Sensory seeking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early adolescents : the dual mediating roles of peer pressure and peer conformity : 또래압력과 또래동조성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영수, 이승희 p. 23-42

체화된 권리교육과 아동 권리 감수성 간 관계에 대한 기초연구 = A basic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mbodied child rights education and the sensitivity to child rights 이승희 p. 43-71

고등학생의 우울과 스마트폰 과의존과의 관계에서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heal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depression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허지선, 남병습 p. 73-87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측정문항 개발 = A Delphi study to develop items for measuring social-emotional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민선옥, 임미선, 이승숙 p. 89-118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을 마주하는 유아 교사의 경험과 역할 탐색 = Exploring the experience and ro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nfronting social-emotional development in young children 황인애, 주영신 p. 119-146

아동, 부모, 교사, 국가(사회)의 권리관계 개념 도출을 위한 연구 동향 분석 = Research trends in the rights of children, parents, teachers, and the state : analyzing conflicts and balancing relationships : 권리의 충돌과 균형을 중심으로 박성민, 장미경, 이여름, 이세화, 조윤 p. 147-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