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중등연령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및 중등연령 학교 밖 청소년, 보호자, 현장 전문가를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고 중등연령 학교 밖 청소년에게 설문조사하여 273부를 최종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등연령 학교 밖 청소년 프로그램에 요구되는 7개의 중요한 사회성 요인을 추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사회성 척도를 구성하였다. 요구조사 결과를 프로그램 내용과 방법 등에 반영하여 대면과 비대면 프로그램으로 개발하고,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대면집단, 비대면집단,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시범운영 하였으며 구성된 집단에 사전‧사후‧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대면집단과 비대면집단 모두 프로그램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면집단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the social skills of middle school-aged, out-of-school adolescents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this end, first,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s and interviews with out-of-school youths, their guardians, and field experts were conducted to develop a scale that measures adolescents’level of sociality and that further can be used to validate the developed program. Then, a survey was conducted with out-of-school youths, and data from 273 participan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even important social factors required for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s for out-of-school youths were extracted, and a sociality scale wa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se factors Also, based on the demand survey of participants, a social skills improvement program was developed that could be run in person or a face-to-face.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 face-to-face group, a person group, or a control group, and pre-, post-, and follow-up tests were conducted with these groups.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with both the face-to-face and in-person groups, demonstrating a greater effect with the face-to-face group. Based on th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discussed.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SNS 과다사용 후기 청소년을 위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The development of a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its effectiveness on late adolescents’ SNS overuse 이우주 p. 1-30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만성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on chronic procrastin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 dual mediating effect of entrapment and internalized shame : 속박감과 내면화된 수치심의 이중매개효과 정혜은, 하정 p. 31-50

청소년 자살생각, 자살시도의 영향요인 분석 = Exploring factors impacting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 interaction effects of stress, loneliness, and helplessness : 스트레스, 외로움, 절망감의 상호작용효과 채민정 p. 51-73

대학생의 유기/불안정 도식과 관계중독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abandonment/instability schema and relationship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s of loneliness and distress tolerance : 외로움과 고통감내력의 매개효과 이은지, 김은석 p. 75-95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A needs analysis to develop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programs for out-of-school adolescents 김은예, 박현미, 고한나, 김설호 p. 97-118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대학생 대인관계 향상 집단상담 효과 = A study on effectiveness of group counseling at metaverse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권해수, 심현진 p. 119-137

청소년의 도덕적 정체성, 피해자 공감과 또래괴롭힘 방어행동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moral identity, victim empathy, and defending behavior in bullying :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assertiveness : 자기주장성에 의해 조절된 매개효과 이인복, 서미정 p. 139-158

중등연령 학교 밖 청소년 사회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a program to improve social skills for middle school-aged out-of-school youths 박재연, 박경례, 임세영, 이인숙, 이정윤 p. 159-183

비장애 대학생의 장애 인식에 대한 메타포 연구 = How do undergraduate students without disability perceive disability? : a metaphor analysis 서주영, 백정원 p. 185-211

정서전염이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empathy through self-focused atten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contagion and prosocial behaviors among adolescents : 자기몰입을 통한 공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백혜영, 김은하 p. 213-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