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요대 斡魯朶는 耶律阿保機의 腹心部에서 유래한 것으로 거란인이 세운 새로운 체제이다. 최초에 황제의 신변을 보호하기 위해 만든 조직이었으나 점차 守陵, 出征, 생산, 捺鉢扈從 등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여기에 예속된 蕃漢轉戶는 주로 포로로 잡힌 한인, 발해인이고, 正戶는 선발되거나 자발적으로 궁적에 들어온 거란인이었다. 그리고 宮分人은 귀족 중에 황제를 시위하는 친위대와 죄를 지어 宮籍에 들어온 사람들로 구성되었다. 황제는 항상 上京에 거주하지 않고 황족 및 신료들과 함께 四時捺鉢 지역으로 巡幸했고 요의 정치적 중심도 황제의 소재에 따라 이전되었다. 따라서 궁분인들도 황제를 호종해야만 했다. 알로타는 황제가 이주하는 行宮이라고 할 수 있지만 넓은 의미로 이 행궁을 관리하는 기관과 제도를 총칭한 것이다.
이런 거대한 알로타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중앙조직과 별도로 관리기구가 필요했다. 이들을 관리하는 기구로는 諸行宮都部署院을 정점으로 그 아래에 契丹行宮都部署司와 漢兒行宮都府署院이 부족과 주현을 나누어 관리했고, 거기에 각각 12宮 職名이 있었다. 그리고 알로타의 기층민을 조직하는 방식은 농경민과 포로는 주현과 제할사에 예속했고, 유목민은 석렬, 말리, 득리, 갑살 등에 속했다. 그리고 범죄자와 그 가속들은 와리에 편입했다.
이처럼 황제의 통치행위와도 밀접하게 연계된 알로타는 거란의 정치·사회 영역에서 조성된 유목문화의 독특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이 시스템은 황제의 사적 소유였으나 전제적 국가체제에서 황제의 권위가 곧 국가에 상응했던 까닭에 알로타 기관이 마치 국가기관과 거의 동일시되어 요가 멸망할 때까지 황제의 신변 보호와 황실의 경제적 기초가 되었다.
遼代斡魯朶起源于耶律阿保機的腹心部是契丹人建立的新体制。最初是为保护皇帝的人身安全而成立的组织,后来逐渐履行了守陵、出征、生产、捺鉢扈從等职能。隶属于此处的蕃汉轉戶主要是被俘的漢人、渤海人,正戶是被选拔或自发进入宫籍的契丹人。宫分人由贵族中示威皇帝的亲卫队和犯罪进入宫籍的人组成。皇帝经常不在上京居住,而是和皇族及臣僚一起到四时捺鉢地区,辽朝的政治中心也随着皇帝的所在而转移。斡魯朶可以说是皇帝移居的行宫, 但从广义上讲, 是管理该行宫的机构和制度的总称。 为了维持如此庞大的斡魯朶体制, 需要与政府的中央组织不同的管理机构。管理他们的机构以 諸行宫都部署院为顶点, 其下有契丹行宫都部署司和汉兒行宫都府署院, 分部落和州县进行管理, 那里分别有12宫職名。而组织阿洛塔基层群众的方式,农耕民和俘虏隶属于州县和诸割舍,游牧民隶属于石烈、抹里、得里、閘撒等。罪犯及其家属被编入瓦里。与皇帝的统治行为密切相关的阿洛塔可以说是契丹政治、社会领域形成的游牧文化的独特形态。该系统虽然属于皇帝的私人所有,但由于皇帝在专制国家体制下的权威即与国家相对应, 所以斡魯朶机关几乎等同于国家机构, 直到辽朝灭亡为止, 成为皇帝的人身保护和皇室的经济基础。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秦·漢 시기의 贖刑·罰金刑 = 秦・漢時期的贖刑・罰金刑 | 林炳德 | p. 1-29 |
|
|
李鄭屋村古墓與東漢後期嶺南地區的叛亂 = 레이청욱촌 옛 무덤과 동한 후기 영남 지역의 정치적 혼란 | 申東城 | p. 31-61 |
|
|
斡魯朶의 成立과 構成에 관한 分析 = 斡魯朶的成立与构成分析 | 羅永男 | p. 89-121 | ||
張錫英의 間島認識과 “可居”地 探索 = Jang Seok-young's cognizance of Manchuria and a survey of immigration areas : 『遼左紀行』을 중심으로 | 鄭榮九 | p. 123-145 |
|
|
耶律庶幾墓誌銘을 통해 본 遼代 한문묘지명 작성 연구 = A research on the composing Epitaphs in Liao Dynasty as gathered from the Epitaph of Yelü Shuji | 洪性珉 | p. 63-87 |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