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법랑(琺瑯)기법은 조선 후기 금속과 도자공예의 주요 표면 장식기법 중 하나로 에나멜을 기반으로 한 색유약을 활용해 다양한 스타일로 기물 표면을 장식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법랑기법은 기물이 지닌 본래의 색과 장식 유약의 빛깔을 조화롭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 현재도 공예계에서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 시기인 조선 후기에는 장신구와 개인 일상 용품, 투구나 검 등 무구류, 부장품을 중심으로 다양한 법랑 장식 유물이 전한다. 조선시대 법랑은 금속공예품과 도자기에 모두 사용했는데 관련 문헌과 유물을 검토해보면 국내의 법랑은 금속에서 먼저 기법이 시작되었다. 이후 이미 법랑자(琺瑯瓷)까지 영역이 확장된 중국과의 대외교류와 국내의 금속 기법이 서로 연동해 도자까지 법랑이 확산되었다.

현재 법랑은 유럽에서 시작해 중국을 거쳐 조선시대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현전하는 유물에 비해 당대 문헌 기록이 적어 구체적인 전파 루트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조선의 문헌에서는 법랑(琺瑯)을 중심으로 기법명이 혼용되는데 20세기 초 일제강점기를 전후해 칠보(七寶)가 기법명으로 등장하면서 이러한 혼선은 심화되었다.

금속공예 법랑 기법은 조선 사회에서 다방면에 활용한 장식기법이다. 또 기법의 시작에는 조선의 대외교류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어 조선시대 공예 경향과 교류상을 검토하는 데 있어 중요한 단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 후기 금속공예에서 나타나는 법랑기법에 대해 기법의 연원과 유입 경로, 당대의 기법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시문 양상을 검토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大韓獨立血戰記』의 구성과 특징 =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Daehan-dongnip-hyeoljeon-gi 박철민 p. 425-466

조선시대 경직도의 변천과 그 의미 = The transition and meaning of pictures of tilling and weaving (耕織圖) in the Joseon Dynasty 이수진 p. 355-392

조선시대 도자(陶磁) 명기(明器) 기종 연구 = Study of types of funerary ceramic vessels in Joseon Dynasty ; focusing on excavated items from royal tombs (Neung, Won, Myo) : 왕실 능원묘(陵園墓) 출토품을 중심으로 장지영 p. 157-196

조선 후기 한양도성 내 견평방(堅平坊)의 부엌 세간살이 재구성 = Recomposition of kitchen furnishings of Gyeonpyeong-bang within Hanyang Ci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혜선 p. 93-125

20세기 초 야마나카 상회(山中商會)에서 미국에 판매한 한국 회화 연구 = A study on Korean painting in the United States by the Yamanaka & Co. in the early 20th century 권형인 p. 393-423

조선 후기 금속공예 법랑(琺瑯) 기법의 유입과 전개 =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vitreous enamel technique in metal craf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김세린 p. 277-316

조선시대 국가의례용 술잔의 표상(表象) = Symbol of drinking vessel for national rituals during the Joseon Dynasty : Jak (爵) : 작(爵) 구혜인 p. 197-245

‘당사기(唐沙器)’ 考 = Various inferences about Dangsagi(唐沙器) 장남원 p. 127-156

조선 후기 인장(印章)의 감상과 물질적 향유 = Appreciation and material enjoyment of se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이다란 p. 247-276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회혼례도첩》의 찬안상(饌案床)과 향좌아(香佐兒) = The wedding tables of the Joseon aristocrats in the 《60th Anniversary Painting Book(《回婚禮圖牒》)》,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김미라 p. 47-91

일기자료를 통해 본 16세기 사대부층의 자기(磁器) 구득과 사용 = Acquitition and usage of porcelains in the 16th century Sadaebu class : based on the diary records of Miamilgi(眉巖日記), Mukjaeilgi(墨齋日記), Swaemirok(瑣尾錄) : 『묵재일기』, 『미암일기』, 『쇄미록』 을 중심으로 윤효정 p. 7-46

청동기시대 타제석기 제작 체계 시론 = A study on the chipped stone tools making system of Bronze Age 이기성 p. 319-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