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문에서는 여말 선초부터 조선 중기까지 국제 정세의 변화에 따라 명을 왕래한 사행의 노정 변화를 당시 사행의 주요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여말 선초 북원 세력을 피해 황해 남로를 통해 사신들이 남경을 오갔던 정황과 조선 전기 명나라 사신이 조선을 왕래하는 노정을 상호 교차하여 파악하였다. 이후 명의 정세가 안정기에 접어들면서 요동-산동로와 육로를 통해 사행하였다. 그러나 17세기 전반 後金 세력의 성장으로 위험해진 요동의 육로를 통과하지 못하고 바닷길을 이용해 북경을 왕래할 수밖에 없었던 정황을 노정의 주요 변화에 따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근세 한국과 중국의 道里記체계 비교연구 = Comparative study on the 'Itinerary' systems of modern Korea and China 도도로키 히로시 p. 5-24

1/5만 근대지형도에 수록된 山 지명의 특징과 활용의 문제점 = Characteristics of mountain place names included in 1:50,000 modern maps and problems of use : focusing on the Incheon, Bucheon, and Siheung area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 일제강점기 인천·부천·시흥지역을 중심으로 한상호 p. 25-49

조선과 명의 대외관계와 사행 노정의 변화 = The changes in diplomatic routes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the Ming Dynasty 정은주 p. 51-75

미군정기(1945-1948년)의 한반도 미군사지형도 = US military topographic maps of Korea during the Korean military government era (1945-1948) : history, cartographic style, and historical geographic data resource : 제작 배경, 도식, 역사지리 자료원으로서의 가치 검토 김수현, 한예림, 김준수, 박범순, 박선영 p. 77-96

영남대학교박물관 소장 <도성도> 복원모사 연구 = Analysis and reproduction of Doseongdo of the Yeungnam University Museum 오윤주 p. 97-133

19세기 후반 사카이 일가의 지도 제작과 독도 인식 = Map making and Dokdo perceptions by the Sakai family in Japan in the late 19th century 심정보 p. 135-154

국립대구박물관 소장 고지도의 서지학적 분석 = Bibliographic analysis of old maps of Daegu National Museum 정대영 p. 157-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