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구상은 1919년 서울에서 태어나 2004년 작고하였다. 일생을 시인이자 교육자, 언론인으로 살며 한국 현대시사에 가톨리시즘을 바탕으로 한 시적 사유와 형이상학적 존재론, 휴머니티의 실천이라는 시적 변주를 통해 뚜렷한 문학적 성과를 남겼다.

이러한 구상의 시 세계에 대한 학문적 접근이 다소 빈약한 가운데 최근의 연구 경향은 대체로 문학이론의 내적 방법론에 따라 구조주의 혹은 탈구조주의적 작품 분석에 집중하거나, 윤리의식과 가톨릭 세계관에 주목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응향』 필화 사건이나 「그리스도 폴의 강」, 「밭 일기」 등 주목되는 연작시에 대한 개별적인 접근도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경향은 크게 세 가지 관점에서 아쉬움을 남긴다. 우선, 구상의 시 세계를 작품론적 관점에서 종합하지 못한 점이다. 둘째,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한국전쟁과 5.16 등 한국현대사의 굴곡을 체험하면서 시인, 교육자, 언론인으로 생활한 그의 삶을 작가론적 관점에서 입체화시키지 못한 점이다. 셋째, 구상의 시적 사유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가톨리시즘과 시적 실천의 제반 양상을 일관된 시적 논리계 안으로 정립시키지 못한 점이다.

본고는 이상과 같은 연구 흐름을 참조하면서 구상의 시적 사유와 그 변주 양상에 주목해 보고자 한다. 그동안 부분적이고 열거주의적인 방식으로 접근한 태도를 벗어나 구상의 시적 사유를 가톨리시즘을 근간으로 한 일원론으로 정리하고, 그 토대 위에서 대긍정을 통한 부활의 의지, 일의적 존재론과 고독의 심화, 휴머니티와 진실의 지향 등이 변주되어 나타난 것으로 보았다. 이를 통해 구상의 내면 풍경과 정신의 경계를 연역해낼 수 있다면, 작품론적 종합과 작가론적 입체화를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보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학교폭력을 다룬 미디어 속 개(늑대)와 돼지의 계급우화 = The class fable of a dog(wolf) and a pig in media dealing with school violence : focusing on The King of Pigs and The Three Little Pigs compared and analyzed from Bettelheim’s perspective : 베텔하임의 관점으로 비교분석한 <돼지의 왕>과 「아기돼지 삼형제」를 중심으로 정원술 p. 7-39

과학·철학 지식콘텐츠 그래픽노블의 아이코노텍스트적 특질과 서사전략 = The iconotext characteristics and narrative strategies of science·philosophy knowledge contents graphic novels 강현구 p. 41-95

한국전쟁 그래픽노블과 증언의 수사학 = Korean War graphic novels and the rhetoric of testimony : focused on Keum Suk Gendry-Kim and Jiheun Hong : 김금숙·홍지흔을 중심으로 허도경 p. 97-126

구상 시에 나타난 가톨리시즘적 일원론 = The Catholic monism at the Ku Sang's poetry 김재홍 p. 129-166

마종기 초기 시의 생태적 애도 = The ecological mourning of Ma Jong-Gi’s early poems in 1960s : how to read the series poems ‘Case of Disease(證例)’ : 「證例」 연작 읽기 윤종환 p. 167-197

김유담 소설에 나타난 돌봄의 이면과 젠더 불평등 = The other side of care and gender inequality in Kim Yu-dam's novel : focused on the 『Caring Mind』(Minumsa, 2022) : 소설집 『돌보는 마음』(민음사, 2022)을 중심으로 고봉준 p. 199-225

한국과 일본의 힐링 소설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healing novels in Korea and Japan : with a focus on Kim Ho-yeon's The Inconvenient Convenience Store and Machida Sonoko’s The convenience store with the sound of the sea : 김호연의 『불편한 편의점』과 마치다 소노코의 『바다가 들리는 편의점』을 중심으로 김미영 p. 227-262

최인훈과 이청준의 초기작 모티프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motifs in the early works of Choi In-Hoon and Lee Cheong-Jun : focused on shame : 수치심을 중심으로 마희정 p. 263-292

영화소설 『탈춤』 연구 = A study on the cinema novel Mask Dance :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merican serial films and Na Un-gyu : 미국 연속영화와 나운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만강 p. 293-316

1970년대 사보 콩트에 대한 인식 재고 = Reconsidering the company magazine conte in the 1970s : focused on Park Wan-suh's「My Beautiful Neighbor」 : 박완서의 「나의 아름다운 이웃」을 중심으로 홍성식 p. 317-338

이창동 영화 <시>에 나타난 세계관 연구 = A study on the view of the world in Lee Chang-dong’s movie <Poetry> 김영복, 김종태 p. 339-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