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고는 먼저 평양 경관을 수용한 가사의 현황을 관유가사와 사행가사로 나누어 간략히 살폈다. 그리고 평양의 경관만을 노래한 〈기성별곡〉과 〈대동별곡〉의 작품 구성과 문체․표현, 그리고 작품에 나타난 작자 의식의 측면에서 이 두 작품의 문예적 실상을 규명하였다.
〈기성별곡〉은 김재찬이 1795년쯤 가을에 평안도 관찰사로서 평양의 경관을 둘러보고 지은 관유가사 작품이다. 총 203구의 분량이며, 3대단 14소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자는 경관을 통해 촉발된 정서를 작품 곳곳에 적절히 형상화하여 작품의 서정성을 고양하고 있다. 본 가사 작품에 활용된 수사법 가운데 가장 주목되는 수사법은 인유법인데, 〈관동별곡〉의 영향이 지대하다. 작자는 평양의 역사와 대해 자부심을 표출하되, 세월의 흐름에 따른 무상감도 드러내고 있다. 또한 작자는 작품 곳곳에서 목민관 의식을 표출하거니와 소박하게나마 풍수설의 형국론에 기반한 지리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평양과 그 경관을 전하고 있다.
〈대동별곡〉은 총 174구로 이루어진 작자 및 창작연대 미상의 관유가사 작품이다. 3대단 5소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자는 가을철에 평양에서 대동강 선유 놀음을 경험하고 작품을 창작하였다. 작자는 화소를 전개함에 있어서 표현에 변화를 주기 위해 상당히 노력하였다. 수사적 측면에서는 〈기성별곡〉과 마찬가지로 인유법을 주목하게 되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역시 〈관동별곡〉의 영향이다. 작자는 작품에서 극도의 풍류 지향성과 도선의식을 보여준다. 이 밖에 평양의 역사에 대한 관심도 표출하고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성별곡〉과 〈대동별곡〉이 수사적 측면에서 〈관동별곡〉의 지대한 영향을 받아 창작된 작품이라는 점을 주목하게 된다. 이를 통해 〈관동별곡〉이 후대의 가사 작품에 끼친 문학적 파장의 크기를 새삼 실감할 수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