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악률전서』인무보의 고찰을 통해 인무 춤사위에 함의된 상징과 수양의 덕목을 거경함양의 관점에서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먼저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인무의 성립 배경 및 인무보를 분석한다. 다음으로 동양 철학적 관점에서 인무 춤사위에 담긴 상징과 수양의 덕목인 거경함양을 주제로 살펴본다. 연구결과: 요임금의 춤으로 지어진 인무는 가장 오랜 연원을 지닌 춤 육대대무의 하나로 춤 학습의 가장 기본이 되는 춤이다. 인무 춤사위는 사단(四端)을 상징하는 사세(四勢)와 오상삼강(五常三綱)을 상징하는 팔세(八勢)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람이 항상 지켜야 할 도덕적 가치와 예의를 강조한다. 거경함양은 윤리적 성찰과 학문적 수양을 실천하기 위한 방법론이다. 인무 춤사위 학습을 통한 거경의 실천은 몸으로의 공부를 힘써 이행하는 과정으로, 심신 수양을 위한 실천적 본보기로서 유가적 처세의 지표를 얻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거경 즉 몸가짐을 바르게 하여 근본을 세우고 스스로를 수양하는 배움은 개인의 발전은 물론 바람직한 미래 사회를 만들어 가는 초석으로 이는 고대의 춤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귀한 가르침이다. 결론: 고대로부터 전해진 인무 춤사위에 함의된 상징을 파악하고 거경함양의 관점에서 논한 본 연구는 과거의 흔적이 담긴 무보를 현재의 시각에서 분석하여 춤의 본질과 고유한 특성을 보존해 가는 유의미한 과정이다. 시공을 아우르는 논의로서 본고가 고대로부터 이어온 춤의 정통성을 본받아 춤 지평의 확장 및 가치 창출에 기여하길 바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국가유산기본법」과 무형유산 지정의 실천적 변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Heritage' and practical changes in designation of intangible heritage : focusing on the field of dance : 무용분야를 중심으로 박은영, 박태규 p. 1-26

거경함양(居敬涵養)을 위한 『악률전서』 인무보(人舞譜) 고찰 = A study on the Inmu-bo of 'Akryuljeonseo' for the cultivation of Geo-gyeong 유혜진 p. 27-50

무용전공 대학생의 BAS-BIS와 자기관리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dance major students' BAS-BIS and self-management on psychological happiness 이명자 p. 51-74

무용 전공 대학생의 우울 경험에 대한 고찰 = A story about the experiences of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ance 권나영, 권영주, 김연희, 김초희, 김규진 p. 75-96

전통춤 기본무로서 조흥동류 ‘입춤’의 교육적 의미 탐색 = Exploring the educational meaning of 'introductory dancing' of Cho Heung-dong-ryu as a basic dance of traditional dance 박지혜 p. 97-121

문묘일무와 군자 리더십 = Exploring the humanistic value of Munmyo Ilmu : virtue and leadership of a gentleman in Munmu : 무무(武舞)에 나타난 리더의 조건 박지선 p. 123-150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무용분야 학교예술교육 연구동향과 방향성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nd directions in school arts education in the field of dance using text mining 김소연, 윤수미 p. 151-179

국가무형유산의 개인 춤종목 보유자의 관점을 통한 제도운영 개선방안 연구 = A study on ways to improve system opera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holders of individual dance items of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유진주 p. 181-210

AI 시대의 무용 속 ‘몸’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 Phenomenological considerations of the 'body' in dance during the AI era 나수진, 김연재 p. 211-234

한국창작무용 의상의 변화와 섹슈얼리티 = Changes in Korean creative dance costumes and sexuality 백현순 p. 235-252

문화예술교육의 디지털전환 정책에 따른 무용교육의 방향성 탐색 = Direction of dance education according to digital conversion policy of cultural arts education 최진주, 박미영 p. 253-280

중국 대학생의 무용공연 관람동기와 마케팅믹스 요인의 영향 관계 =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motivations for attending dance performances and the marketing mix factors 박선미, 양효빈, 유천 p. 281-304

생태예술(Eco-Arts) 사례 탐구를 통한 무용의 지속가능발전 방향 모색 = Seeking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dance through the exploration of eco-arts cases 설자영 p. 305-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