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경상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칭칭이 류를 순수한 형태의 칭칭이 류와 다른 노래의 영향을 받은 칭칭이 류로 구분하여 공간 분포 및 전파의 특성을 통해 그 기원지를 분석하였다. 낙동강 중상류 지역에서 자연 발생된 칭칭이 류는 경상지역을 중심으로 낙동강을 남하하며 전파되었다. 칭칭이 류의 발생지인 낙동강 중상류 지역에서는 시간적으로 먼저 남강 중류 지역에서 낙동강을 따라 전파된 상사 류를 대체하였으나, 상사 류의 발생지에서는 완전히 상사 류를 대체하지 못하고 그 영향력을 확대해 가는 과정에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칭칭이 류가 자연 발생하여 경상지역에서 그 영향력을 확대해 가는 과정 중에 방아 류가 경기지역에서 이 지역으로 유입되었다. 그러나 유입된 방아 류는 칭칭이 류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황강 일대에서 전파가 멈추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origin of the ChingChing-i type through its spatial distribution and propagation characteristics.The ChingChing-i type is classified into the pure ChingChing-i type and the ChingChing-i type that is influenced by other songs. The ChingChing-i type, which occurred naturally in the middle-upper of the Nakdong River, diffusion south down the Nakdong River in the Gyeongsang region. In the middle-upper of the Nakdong River, where the ChingChing-i type originated, it replaced the Sang-sa type, which diffusion along the Nakdong River from the middle Namgang area. However, in the place where Sang-sa type originated, it is judged that it was in the process of expanding its influence without completely replacing Sang-sa type. ChingChing-i type was created naturally and its influence expanded in the Gyeongsang region. And during that process, Bang-a type were introduced into this area from the Gyeonggi region. However, the introduced Bang-a typ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hingChing-i type and its diffusion stopped in the Hwang River area.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유네스코 복합유산 ‘마추픽추 역사 보호 지구’의 주요 경관 고찰 = A study on the major landscape of the UNESCO Complex Heritage ‘Historic Sanctuary of Machu Picchu’ 임은진, 장동호, 류주현 p. 1-16

칭칭이 류의 공간 분포 특성과 전파 양상을 통한 기원지 해석 = Interpretation of origin through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diffusion pattern ChingChing-i type of weeding song 장동호, 김장수 p. 17-29

ICAP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초등사회 지리 수업 방안 탐색 = Exploring the teaching methods of geography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using ICAP framework : focused on the water cultural landscape of Jeju Island Gangjeong : 제주도 강정의 물문화경관을 중심으로 정주연 p. 30-44

인구밀도가 합계출산율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population density on total fertility rate : focusing on Gangwon State : 강원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박건영 p. 45-58

걷기여행길 보행환경 개선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lans for improving and promoting walking travel path environments : focusing on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Sanmaki Old Trail in Goesangun : 괴산군 산막이옛길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중심으로 강금해 p. 59-81

1930년대 지방 향촌 여성의 경성 유람을 통한 근대 경관 인식 = Perceptions of modern landscape through the Gyeongseong cruise of local rural women in the 1930s : 『경성노정기인력거』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김해경 p. 82-98

광역도시세력권 미포함지역의 특징 = Characteristics of areas not included in Korea's metropolitan sphere of influenc 곽병조 p. 99-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