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자원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져 출산율이 낮아질 수 있다는 주장을 바탕으로 강원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인구밀도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인구밀도 이외에 재정자립도, 조혼인율, 여성 평균초혼연령, 여성 고용률, 산업 구조 등 다양한 지역특성 변수를 분석에 포함하였고 강원도 18개 시군에 대한 분석 결과를 광역시도와 기초지자체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분석 대상 지역과 상관없이 인구밀도와 출산율 사이에 음의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지만 강원도 18 개 시군에 대해서는 그 관계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30대의 상대적인 밀도의 경우에는 오히려 출산율과 양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구이동이나 산업구조 등의 변수는 분석 대상 지역에 따라 출산율에 미치는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기도 했다.

이는 인구밀도가 출산율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치지만 그 효과는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인구밀도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때 지역 특성이나 인구의 연령별 구조 등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In this study, based on the assertion that higher population density leads to more intense competition for resources, resulting in lower fertility rates, we analyzed the impact of population density on fertility rates, focusing on Gangwon State. In addition to population density, various reg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financial independence, crude marriage rate, average age of first marriage for women, female employment rate, and industrial structur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for Gangwon’s 18 cities and counti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metropolitan cities and other municipalities.

The study’s findings indicate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density and fertility rates across all analyzed regions. However, this relationship was relatively weaker for Gangwon’s 18 cities and counties. Notably, for the relative density of the population in their 30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fertility rates. Additionally, variables such as population migration and industrial structure had different effects on fertility rates depending on the reg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while population density negatively impacts fertility rates, this effect varies by region. Therefore, when analyzing the impact of population density on fertility rate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age structure of the population.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유네스코 복합유산 ‘마추픽추 역사 보호 지구’의 주요 경관 고찰 = A study on the major landscape of the UNESCO Complex Heritage ‘Historic Sanctuary of Machu Picchu’ 임은진, 장동호, 류주현 p. 1-16

칭칭이 류의 공간 분포 특성과 전파 양상을 통한 기원지 해석 = Interpretation of origin through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diffusion pattern ChingChing-i type of weeding song 장동호, 김장수 p. 17-29

ICAP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초등사회 지리 수업 방안 탐색 = Exploring the teaching methods of geography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using ICAP framework : focused on the water cultural landscape of Jeju Island Gangjeong : 제주도 강정의 물문화경관을 중심으로 정주연 p. 30-44

인구밀도가 합계출산율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population density on total fertility rate : focusing on Gangwon State : 강원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박건영 p. 45-58

걷기여행길 보행환경 개선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lans for improving and promoting walking travel path environments : focusing on the safety and convenience of Sanmaki Old Trail in Goesangun : 괴산군 산막이옛길의 안전성과 편리성을 중심으로 강금해 p. 59-81

1930년대 지방 향촌 여성의 경성 유람을 통한 근대 경관 인식 = Perceptions of modern landscape through the Gyeongseong cruise of local rural women in the 1930s : 『경성노정기인력거』의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김해경 p. 82-98

광역도시세력권 미포함지역의 특징 = Characteristics of areas not included in Korea's metropolitan sphere of influenc 곽병조 p. 99-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