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북서아프리카의 주요 지역 기구에는 아랍-마그레브연합(AMU)과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ECOWAS)가 있다. 이 두 개의 공동체 중 AMU은 현재 거의 유명무실한 기구가 되었다. 가장 큰 이유는 모로코와 알제리의 관계 악화에 따른 것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 알제리 중심으로 마그레브 국가 간의 새로운 협력체가 움직이고 있다. ECOWAS의 경우 사헬지역의 말리, 부르키나파소, 니제르가 사헬국가연합(L'Alliance des États du Sahel)을 창설하였고, 가장 강력한 지역 기구인 ECOWAS를 탈퇴하였다. 여기에는 지역에서 프랑스의 영향력 퇴조와 외부 세력의 개입 등이 주요인으로 자리하지만, 지역 행위자들 간의 이해관계 또한 중요해 보인다.

본 논문은 최근 전개되고 있는 북서아프리카의 새로운 지역주의 현상을 고찰하고, 지역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먼저 북아프리카의 경우 AMU의 부활 대신 알제리를 중심으로 새롭게 찾고 있는 지역주의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사헬지역의 경우 사헬국가연합을 창설한 부르키나파소, 말리, 니제르의 움직임을 통해 새로운 지역주의가 어떻게 되어가는지, 이를 통해 프랑스의 퇴조와 모로코와 알제리를 중심으로 사헬국가연합 국가들과의 관계 맺기 방식이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지역 기구가 지역 문제 해결을 원활하게 해주지 못함에 따라 분열해가는 마그레브 지역과 사헬지역의 최근 상황을 연구하고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기니비사우의 CFA 프랑존 가입의 경제적 효과 분석 = Analysis of the economic effects of Guinea-Bissau's accession to the CFA Franc Zone 장유진, 김승년 p. [1-2], 3-37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후속 조치 연구 = A study on the follow-up measures of the 2024 Korea-Africa Summit : analysis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informal economy in Nigeria's film industry : 디지털 전환과 나이지리아 영화산업의 비공식 경제 분석 백영연 p. [1-2], 41-77

REDD+ 사업에서 나타난 환경정의 문제 실증분석 =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DD+ projects in Tanzania from the perspective of environmental justice : 탄자니아 REDD+ 사업을 중심으로 강미랑, 이성규 p. [1-2], 81-114

새로운 지역주의 등장 = The emergence of new regionalism : a study of regional change in Northwest Africa : 북서아프리카의 지역 변화에 관한 연구 임기대 p. [1-2], 117-142

지속가능한 개발협력을 위한 문제해결 중심에서 강점과 가치중심 접근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 Paradigm shift from problem-oriented to strength and value-oriented approach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ooperation : appreciative inquiry case studies : Appreciative Inquiry 적용사례 전온리 p. [1-2], 145-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