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 노인의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 및 신체활동 수준과 상대 악력과의 연관성 = The association between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s, physical activity level, and relative handgrip strength in Korean older adults :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 :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손남국 p. 646-655
(The) impact of exercise programs and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lumbar spine bone mineral density in women = 운동프로그램 참여와 비타민 D 보충 요법이 여성요추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Kim A-Ram, Lee Si-Eun, Kim Hye-Ryeon p. 656-664
12주간 저산소 순환운동이 근감소증 비만 여성 노인의 신체구성, 심대사 바이오마커, 체력 및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ypoxic circuit training with 12 weeks on body composition, cardiometabolic biomarker, physical fitness, and isokinetic function in sarcopenic obese older women 남상석, 이경희, 김정원 p. 665-678

중년여성의 골밀도수준이 대사성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bone mineral density levels on metabolic risk factors in middle aged women 이소은 p. 679-686
숙련도에 따른 스쿼트 하강구간의 운동학적 특징 비교 = Comparison of kinematic characteristics over descending phase of squat as skilled level 전윤걸, 김성민, 문제헌 p. 687-697
Rasch 평정척도모형을 적용한 파크골프장 서비스스케이프 측정척도의 적합도 검증 = Verification of suitability of park golf course servicescape measurement scale applying Rasch rating scale model 김성희, 이준우, 김세형 p. 698-712
Analysing the reliability of technical and tactical data used in football performance analysis = 축구 경기력 분석에 활용되는 기술 데이터의 신뢰성 분석 Kim, Jong-Won, Na, Chung-Hyeon p. 713-730
6주간의 홈 기반 신체 부위별 보강 운동이 대학 축구선수들의 신체 조성, 기술 관련 체력, 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6-weeks reinforcement exercises by body parts based on home training on body composition, football skill-related physical strength, and dynamic balance 김남수, 강현식 p. 731-744
Effects of 8 week SAQ training on physical fitness and skills of adolescent female soccer players = 8주간의 SAQ 훈련이 청소년 여자 축구 선수들의 체력과 기술에 미치는 영향 Fei Zhao, Qian Qian, Park, Jong-Chul p. 745-757
4주간의 Togu Dynair 볼 트레이닝이 만성발목불안정성(CAI) 환자의 FMS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4-week togu dyneair ball training on FMS and balance in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patients 성동훈 p. 758-767
혈류제한 스쿼트 운동이 근육산소포화도 및 생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squat with blood flow restriction on muscle oxygen saturation and physiological variables 이윤미, 안지희 p. 768-776

12주간의 탄력밴드 저항성 운동이 고령자의 생활 체력과 평형성 및 보행 기능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12 weeks of elastic band resistance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balance, and gait function in the elderly 권정현 p. 777-785
엘리트 핀수영 선수의 건강관련체력 비교 = A comparative study on the health-related physical of elite finswimmers 최윤진, 유경, 문영재, 문황운 p. 786-795
(The) application of a team-based learning teaching model in university aerobics courses = 대학교 에어로빅 수업에서 팀 기반 학습 교육 모델의 적용 Zi-Yan Ding, Tian-Qi Bei, Park, Jong-Chul p. 796-805
12주간 밸런스워킹PT 운동이 중년여성의 건강체력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12 weeks of balance-walking PT exercise on the health-related physical fitness factors and the cognitive function of middle-aged women 노은희, 김정원, 남상석, 정현아 p. 806-820
전신 진동 운동이 대학 배구선수의 심부근 균형능력과 자세안정화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on local muscle balance and posture stability in university volleyball player 채성희, 박정민, 현광석 p. 821-833
필라테스 리포머 풋 워크 동작시 발의 스탠스가 편평족의 발바닥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foot stance on foot muscle activity in flatfoot : during Pilates reformer footwork exercise 이정하, 이해림, 강명성, 민경빈, 김명기 p. 834-8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