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동아무용콩쿠르 본선 진출 남녀 현대무용수 집단을 대상으로 전통적으로 적용해온 양극배제평균(TM) 방법이 무용수의 실기능력 수준을 판정하는 방법으로 공정한가를 Rasch 모형에서 산출된 로짓점수와 비교하여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23년 동아무용콩쿠르의 현대무용 부문 일반부 본선에 진출한 남자(n=7), 여자(n=7) 무용수 전체 14명이다. 이들의 실기능력은 무용장르별로 무용경력과 심사경험 등을 고려하여 선정된 7명의 심사자에 의해 평가되었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Rasch 모형을 적용하여 심사자의 남녀 무용수집단에 대한 편파성을 검증하고 심사자별, 무용수별, 로짓(logit) 점수와 내 ․ 외적합도 지수, 분리신뢰도 지수(RS)를 산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dow와 Winsteps 4.6.2.1을 이용하였다. 심사자의 남녀 무용수집단에 대한 판정의 편파성(Rasch-Welch t, p≥.06)은 발견되지 않았다. 모형적합도 검증결과, 심사자들의 평가 결과는 전체적으로 일관성을 보이고 있으나 무용수들의 실기능력 수준을 효과적으로 변별하지는 못한 것(RS=.75)으로 나타났다. TM 산출에서 제외대상 여부와 Rasch 적합도 검증결과 적합 여부 간의 합치도(k=.108)는 매우 낮으며 심사자들 간의 심사결과 일치도(Cronbach’s α=.66) 또한 최소한 만족시켜야 할 기준(.7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TM 점수와 로짓 점수 간에는 매우 높은 상관(r=.97)을 보이고 있으나 두 방법으로부터 산출된 1위와 2위의 순위에는 변동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M 방법은 무용 현장에서 우수한 무용수를 선별할 수 있는 타당한 방법으로 그 정당성을 보장받기는 어려우며 새로운 평가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학교체육 스포츠영역 평가를 위한 평가요소의 중요도 및 실행도 분석 =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evaluation factors for the evaluation of school P.E. sports areas 최영탁, 김혜진 p. 1-10

학교 운동장 바닥소재에 따른 학생 신체활동에 대한 인식 = Perceptions of student physical activity based on school playground flooring materials : a survey of stakeholders(students, parents, teachers) : 이해당사자(학생, 학부모, 교사) 대상의 실태조사 오상은, 박재현, 윤지운, 김도균, 정현철, 김세화 p. 11-23

대규모 표본을 활용한 발달 및 외부신체기능 장애 학생의 체력, 건강, 행복감과의 관계 탐색 =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fitness, health, and happiness i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and external physical disabilities using a large sample 이성모, 진주연 p. 25-36

양극배제평균 방법에 의한 무용 실기능력 평가의 적절성 재탐색 = Revisit of dance performance judgment by trimmed mean method 최윤선 p. 37-51

신체구성 지식수준 비교와 신체구성 인식 조사 = Comparing body composition knowledge levels between trainers and members, and surveying body composition perception 정혜연, 정혁 p. 53-62

GT9X의 타당도, 신뢰도 검증 =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GT9X 박우석, 홍성봉, 강성기 p. 63-71

청소년 배드민턴 여자 단식경기의 우수선수 선발요인 탐색 = Exploration of selection factors for female singles badminton players : based on body type and physical fitness : 신체유형 및 신체기능 기반 조은혜 p. 73-82

연도 가중치 기반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한국체육측정평가의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measurements and evaluation of physical education in Korea using year weight-based topic modeling 최형준, 권민혁 p. 83-92

인공지능 기반 한국프로야구(KBO) 자동 투구 판정 시스템(ABS)의 일관성 분석 =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Korea Professional Baseball (KBO) automatic ball-strike system (ABS) consistency analysis 김주학, 조선미 p. 93-103

서포트 벡터 회귀를 이용한 프로야구 팀의 승률 예측 = Predicting baseball team win rates using support vector regression : focusing on the explainability of batter performance type combinations : 타자 경기력 유형 조합에 따른 설명 가능성을 중심으로 이기봉, 황수웅 p. 105-115

엘리트 축구 지도자의 스트레스 척도 개발 = Developing a stress scale for elite football coaches 모정일, 홍성진 p. 117-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