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항공서비스’에 대한 정의를 바탕으로 2003년 학회 창립이후 2023.6월까지의 한국항공경영학회지에 게재된 139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객관적 분석 및 주제 분석을 통해 그 의미와 추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39편 논문에 대한 객관적 분석 결과, 항공사 객실승무원 대상 연구가 81.6%로 가장 많았고, 92.1%의 논문이 실증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둘째, 객관적 분석 결과 중 중요한 경향으로, 항공서비스 관련 논문 수가 한국항공경영학회지의 약 20%를 차지하며, 매년 완만하지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논문당 저자수로는 약 2명 정도이며, 신규 저자도 계속 증가하고 있다.

셋째, 주관적 측면에서의 잠재디리클레 할당(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방법을 통한 주제 분석결과, 2013년부터 2023년 6월까지의 후반기에는 보상관리, 조직유효성 등 일반적 주제보다는 고객만족, 직무스트레스, 서비스지향성 등 보다 구체적인 주제에 관심을 갖는 연구가 나타났다.

넷째, 2003년부터 2023년까지 주제의 변화 추세 분석 결과, 구성원 능력개발, 교육훈련, 고객안전, 리더십, 정서노동을 중심으로 한 주제는 유지되면서, 객실 관련 승무원의 전문성, 스트레스 및 일과 생활의 균형과 이러한 분야를 중심으로 한 조직의 구성원에 대한 지원정책 연구가 보다 증가되었다.

다섯째,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항공서비스분과연구회’와 같은 소모임 활성화, 사례나 정책논문 등 주관적 연구방법 적용 논문의 증가, 논문 주제의 다양화, 타 학문과의 융합 연구의 필요성 등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관광용 UAM 상용화를 위한 이착륙장 입지선정 연구 = A study on the site selection of UAM vertiport for tourism commercialization : focusing on tourist attractions in Busan : 부산광역시 관광지를 중심으로 김태훈, 김동진, 정종희 p. 3-25

군 항공 조종사의 직무몰입 증진 방안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ilitary aviation pilots’ job immersion : focused on air force fighter pilots : 공군 전투기 조종사를 중심으로 이강렬, 박경종, 이강석 p. 27-49

2단계 네트워크 DEA모형을 이용한 저비용항공사 점유율이 공항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 An analysis on effects of low cost carrier to global major airports using two-stage network DEA model 허주희, 김지희 p. 51-70

항공사 승무원의 직무역량이 서비스지향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job competency of cabin crew on service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 aviation service industry competitiveness : 항공 서비스 산업 경쟁력제고 방안 최다혜, 김지수 p. 71-83

기업의 재무적/비재무적 지표가 지각된 기업가치와 투자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financial and non-financial indicators on perceived corporate value and investment intention : focusing on implications for the aviation industry : 항공산업에 시사점을 중심으로 김창래, 강명수, 송상연 p. 85-103

한국항공경영학회 20년 연구 성과 = Aviation service : a review of 20 years of research in the Journal of the Aviation Management Society of Korea : 항공서비스 분야 이동명 p. 105-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