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해양건축을 통한 지속가능한 도시/건축적 사례 연구 = Sustainable urban architecture and ocean-based solutions : a focus on responding to rising sea levels with ocean city accommodations : 해수면 상승 재난에 대응하는 ‘순응’ 방식의 해양도시를 중심으로 천수경, 이상윤 p. 3-14
노인요양시설 이용실태와 계속 이용 영향요인 분석 = A study on utilization for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factors of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of facility care : in case of the survey of elderly in 2019 : 2019년도 장기요양실태조사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김수이아, 김태일 p. 15-26
건강주택 요소의 중요도-만족도 인식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healthy housing factors : focusing on baby boomers living in apartments : 아파트거주 베이비붐 세대를 대상으로 김혜연, 권현주 p. 27-38
고시원 운영 건축물의 특성 및 유형화 연구 = Examining the building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al types of Gosiwons 유해연, 이재영 p. 39-48
지역 유형에 따른 세종특별자치시 건축자산의 특징 및 활용방안 =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plans of Sejong City's architectural assets according to regional type 강민경, 안대환 p. 49-60
생성형 AI 기반 주거공간의 바이오필릭 디자인 시각화 방안 = Visualizing biophilic design in residential spaces with generative AI : focusing on water attributes for direct experience : 직접적 경험을 위한 물 속성을 중심으로 김지연, 박성준 p. 61-70
노인복지관 공간기능별 규모계획 = Spatial function guidelines for elderly welfare center in Kyungbuk Province 이강희, 류수훈 p. 71-78
제주 테시폰 구법 건축물 공간계획의 변용 과정 = Planning characteristics of ctesiphon architecture in Jeju 강태혁, 김나영, 이용규 p. 79-90
스마트팜과 공공문화공간이 결합한 복합스마트팜 프로토타입 제안 = A study on integrating social infrastructure through program convergence 김동일, 김희정 p. 91-100
모듈러 건축을 활용한 노후저층경사주거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Implementing modular architecture design to revitalize low-rise inclined residential areas : master-planning & spatial strategies for the Haebang-Chon neighborhood, Seoul : 해방촌 일대를 중심으로 황세원, 송찬 p. 101-112
청와대 건설의 딜레마와 전통건축의 역할, 1988-1991 = Dilemmas in the construction of the Blue House and the role of th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1988-1991 박동민 p. 113-124
조선후기 궁중 연향 등(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royal banquet ligh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석진영 p. 125-136
조선 개창기의 한양도성과 경복궁에 대한 역사 고찰 = A historical study of capital Hanyang and Gyeongbok Palace in the opening period of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history of Capital Hanyang and the Palace of the Goryeo Dynasty which were erased from the records of the Annals of King Taejo : 태조실록에서 지워버린 고려의 한양도성과 한양 궁궐의 역사를 중심으로 김성도 p. 137-148
소규모 상업 가로경관의 가로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treet interfaces of small commercial streetscapes : the case of Haeridangil and Jeonridangil in Busan : 부산의 해리단길과 전리단길을 대상으로 콘두리 스리니디, 이인희, 남주희 p. 149-159
속초시 근·현대 도시형태의 변화 특성 연구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modern and contemporary urban form of Sokcho City 박훈 p. 161-172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ZEB) 확보를 위한 최적설계 구현방안 연구 = Implementing optimal designs to achieve zero energy building (ZEB) standards in business facilities : 업무시설 사례를 중심으로 김효중, 김현아, 김혜진, 이경우, 이예진 p. 173-183
열류계법을 이용한 건물 외벽체 열저항 추정의 수렴성 및 정확성에 대한 실내·외 온도차의 영향 분석 = Analyzing the influences of indoor-outdoor air temperature differences on the convergence characteristic and accuracy of in-situ thermal resistance estimation of building exterior walls using heat flow meter method 고명진, 이예지, 최두성 p. 185-191
FRP로 전단보강된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 식의 평가 = Evaluating shear strength equations for FRP-strengthened reinforced concrete beams 서수연, 이성경, 정연수, 김민 p. 193-202
연속붕괴 방지와 시공 최적화를 위한 DfMA 모듈러시스템의 압축 및 전단성능 연구 = Compressive and shear performance evaluation of DfMA modular systems for progressive collapse prevention and construction optimization 신윤성, 이동규, 김용남, 정문숙, 이기학 p. 203-213
강섬유보강콘크리트 단순지지 슬래브의 충격음 성능 평가 = Evaluation of floor impact sound performance using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홍건호 p. 215-222
내력밀도법에 기반한 네트구조의 형상탐색 = Form finding of net structures with force density method 이상진 p. 223-230
목재 전단벽으로 보강된 중목구조 골조의 내진성능평가 =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mass timber frames reinforced with wooden shear walls 오근영, 박금성, 이상섭 p. 231-238
건설업 ESG 정량 지표 추출 및 사용 추세 분석 = What quantitative indicators do construction companies use to manage ESG? : a case study in South Korea : 국내 9개 종합건설사를 대상으로 서원경, 김무빈, 강영철 p. 239-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