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변화와 인공지능 활용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자들은 예비교사들이 생성형 인공지능을 사용하고,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수업을 설계하고 실습을 통해 구현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충청북도에 있는 교사양성대학에서 개설된 ‘화학교재연구’ 강좌를 수강하는 예비교사 17명을 대상으로 투입해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았다. ‘인공지능의 접근성’과 ‘인공지능과 인간의 유사성’의 2개 유목에 해당하는 14개 문항을 사전⋅사후 설문으로 투입하고, 설문 결과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터뷰 자료를 근거로 하여 예비교사들의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변화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예비교사들은 인공지능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고, 안전하며, 인공지능이 인간의 직무를 대체할 수 없고, 인공지능은 인간의 입력을 통해 학습한다는 인식 변화를 보이는 등 전반적으로 교육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인공지능을 유료 구독해야 한다는 점에서 재정적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공지능이 인간처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사고를 변화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결론 앞으로 예비교사들의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고, 학교 현장에서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수업을 적극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활용할 때 학교에서 재정적으로 지원을 하거나, 인공지능의 작동 원리와 인간의 차이를 인식하도록 하는 등 보다 부분적으로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내용에 대한 보다 정교화된 예비교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예비교사들의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변화 =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an educational program utilizing generative Al 이재혁, 백성혜 p. 5-31

플라톤과 니체의 본래적 교육자상 탐구 = A study on Plato's and Nietzsche's authentic educator : focusing on suffering, adversity,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crisis : 고난과 역경 그리고 그 극복과정을 중심으로 홍윤택, 이병승 p. 33-54
수희는 더 배울 것이 있었을까? = Was there more to learn for Su-Hee? : exploring in-service and pre-service biology teachers' perceptions regarding the education 'field' and 'field-based instruction' : 교육 ‘현장’과 ‘현장기반수업’에 관한 생명과학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 탐색 이준기, 박은주, 황효정 p. 55-84
ChatGPT를 활용한 하브루타 수업의 효과 = Effectiveness of havruta classes using ChatGPT : focusing on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classe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예비유아교사 대상 ‘유아교육과정’ 수업을 중심으로 유준호, 조해연 p. 85-101
초등예비교사의 체육수업만족과 신체적자기개념 및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physical self-concepts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안수운 p. 103-120
대중문화로서 영화텍스트의 평생교육적 가능성 고찰 = Exploring the meaning of film texts as a popular culture for lifelong education : from the public pedagogy perspective : 공공교육(Public Pedagogy) 논의를 중심으로 강정수, 김한별 p. 121-144
장애인 교원의 인적지원 요구 탐색 연구 = A study regarding the exploration of human support needs for teachers with disabilities 김원호, 박신하, 김소라, 박지석 p. 145-174
유아교사의 사회적 초인지 역량 함양을 위한 상보적 교육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 Development of the reciprocal education model and program for cultivating social metacognitiv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성정임, 이경화 p. 175-198
글의 길이와 내용, 학생 상하 수준에 따른 고등학생의 문장 중요도 평정 차이 = Differences in high school students' rating of sentence importance depending on text length, content, and students' proficiency levels (upper and lower) 박경희, 김혜림, 박영민 p. 199-219
교사의 목표직위가 교직단계별 교직이탈의사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a teacher's target position on the intention to leave the teaching profession at each stage of a teaching career 박주형, 신혜숙 p. 221-243
정보⋅컴퓨터 부⋅복수전공 자격연수 참여 교사의 교육요구도 분석 =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informatics & computer double & minor major teacher certification training 김송희, 장윤재, 이재진 p. 245-269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초기 청소년의 가정에서의 경험과 변화에 대한 개념도 연구 = A concept mapping study on early adolescents' experiences and changes at home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최지영, 이승영, 우림 p. 271-290
인공지능교육 활성화 준비 요소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 =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perceptions of readiness factors for enabling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 a discussion board analysis : 토론 게시판 분석을 중심으로 권성연 p. 291-316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주체성’의 재개념화 = Re-conceptualization of 'agency'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Palmer's approach through the concept of self-understanding : 파머의 자기이해 개념을 통한 접근 안수진 p. 317-332
교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역량 및 삶 만족도 간의 관계 = Teacher's entry motivation, job competence, and satisfaction with life :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model : 소진의 조절효과 김은빈, 신수영 p. 333-355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러닝의 전공 융합 및 실천공동체적 특징 분석 = Analysis of interdisciplinary integration and community of practice characteristics in service learning for pre-service teachers : focusing on topic modeling analysis : 토픽모델링 분석 기법을 중심으로 최재혁, 손연아 p. 357-3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