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한국 천주교사상 최초의 해외 유학생이기도 했던 제1세대 신학생 3명, 즉 최방제, 최양업, 김대건은 모두가 선발 당시 경기도에 거주하였기에, 1836년 초 서울에 정착한 모방 신부가 단기간인 6개월 이내에 신학생 후보들을 선발하기에 적합했다는 이점을 갖고 있었다. 이중에서 김대건과 최양업은 제1세대 한국인 사제가 되어, 서구의 근대학문을 가장 먼저 학습하고 이를 활용한 선구자로 평가된다. 신학생 후보들은 모방 신부의 한양 후동 사제관으로 소집되어 5~10개월에 걸친 소신학교 교육을 받으면서, 유학을 준비하는 공동체를 구성하게 되었다. 1837년 6월에 시작된 마카오의 조선신학교는 대신학교에 해당되는데, 초대 교장 칼르리 신부를 비롯하여 리브와, 데플레슈 등의 선교사는 3명의 조선 신학생들에게 초기 교과과정에 해당되는 라틴어를 비롯한 다양한 외국어, 국제정세, 인문, 사회, 자연과학 및 음악(성가), 교리에 이르는 폭넓은 교양교육을 실시했다. 김대건, 최양업 등 조선 신학생들의 유학공동체는 마카오 민란이나 신학교 조직의 변화 등에 기인하여 다소 흔들림도 있었으나, 두 학생의 연대와 협동, 매스트르 신부 등 선교사들의 보살핌에 힘입어 굳건히 유지되었다. 조선신학생들이 마카오에서 배운 근대 서구의 학문인 서학(西學) 지식은 1842년 이후 신학교가 요동 지방으로 이전되면서, 중국과 조선의 여러 곳을 유력하면서 라틴어 편지를 작성하거나 중국인, 유럽인, 조선인들을 만나면서 다양한 사목활동을 추진하는 가운데 적절히 활용되었다. 이로써 1876년 개항보다 30~40년 전부터 이미 조선사회 내에 자발적인 서구문물 수용의 움직임 중 한 갈래인 해외유학생을 통한 서학수용(西學受容)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백령도 설화의 유형과 특징 및 공동체 의식 =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Baengnyeongdo narratives and a sense of community 남동걸 p. 3-30

19세기 전반 경기도 거주 세 소년의 해외 유학생 공동체와 서학 수용 = The overseas student's community of three boys lived in Gyeonggi-do and acceptance of Western learning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원재연 p. 31-54

한국 화교 공동체 조직의 변천과 특징 =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diaspora community organizations : focusing on Incheon and Seoul diaspora : 인천과 서울 화교를 중심으로 신진식 p. 55-76

인천 마을공동체 사례를 통해 보는 생활도시의 마을자치 = Community's autonomy in life city through the case of Incheon community : focusing on Yeongsung community in Bupyeong-gu : 부평구 영성마을을 중심으로 정성훈 p. 77-94

18세기 후반 근기(近畿) 사족의 일상 의료와 식치(食治) = The medical care and dietary practices of Ahn Jung-bok's family in Gyeonggi province in the late 18th century : 순암 안정복 가의 단방(單方)을 중심으로 김호 p. 95-120
일제시기 지역 문예지의 확산과 지역 문학장의 연쇄 = The spread of local literary magazines and the chain of local literary fiel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이희환 p. 121-155

19세기 한글본 서울지도 「경조오부도」와 「한성부지도」의 지명 특성 및 유형 분석 =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lace names in the 19th-century Korean maps of Seoul, 'GyeongjoObuDo' and 'HanseongbuJido 박선영 p. 157-179

사회과 교육과정 관행에서 지역 만들기의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strategy of inventing region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practice : focusing on the case analysis of Jeju in Korea : 제주지역의 경우 남호엽 p. 181-204
대형언어모델(LLM)의 역사지리 지식과 AI 역사지도 제작 가능성의 모색 = Exploring the historical geographic knowledge of large language models (LLMs) and the potential for AI historical maps 김현종 p. 205-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