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사두(渣鬥)는 사람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기물로써 그 조형적 변화에는 각 시기 사람들의 생활방식과 생활 습관 그리고 생산 기술 등 여러 방면에서의 영향이 반영되어 있다. 그러나 사두에 관한 기존 연구는 주로 예술적 형식에 국한되는 등 형태 변화에 대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었다. 사두라는 도구의 측면에서 봤을 때, 기존 연구의 성과는 주로 사두 형태의 기원, 사두의 기능과 사용, 사두 및 사두와 관련된 물품과의 비교 분석, 사두의 예술적 특징 등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다양한 연구적 성과와는 달리, 청나라 시대의 사두를 총체적인 부분에서 소소한 곳까지 아우를 수 있는 변화 및 발전에 관련한 연구는 다소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나라 시대의 사회적 관습 변화가 당시의 사두 형태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요소라는 것을 상정한 뒤, 청나라 사두 형태가 총체적 구조에서 분리형 구조로 변화되는 부분을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해당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예술 사회학의 방법을 바탕으로 다음 세 가지 측면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이 부분을 통해 청나라 시대 이전 사두의 기능과 조형적 발전 과정을 더욱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다음으로 청나라 사두의 구조가 총체적인 부분에서 분리 형태로 변화되는 과정 및 청나라 사두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했다. 이 부분에서는 시두의 변화 과정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청나라 사두는 청나라 사람들의 생활 습관의 영향을 받았기에 음용으로서의 새로운 기능 및 컵 모양의 구조를 생성했다. 결국 청나라 사두는 일반적인 형태적 특성에서 다양성으로의 변화 추세를 지니게 되었다. 본 연구는 사두를 연구 대상으로 한다. 하지만 옛날 기물의 조형적 변화와 사람들의 생활 습관 사이의 영향 관계에 대해서 연구를 한다는 관점에서 새로운 사고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정동적 객체로서의 인공지능예술 고찰 = A reflection on AI arts as the affective objects 강미정 p. 1-14

현대미술에서 나타난 그로테스크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grotesqueness in contemporary art : focusing on ceramic portraiture : 도자 인물상을 중심으로 김성란, 이훈기 p. 15-26

조형예술가 관점에서의 지식재산권 연구 = A study 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from visual artist’s perspective : focusing on case of response to art copyright infringement : 미술저작권 침해 대응 사례를 중심으로 김연희, 정우용 p. 27-38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본 트랜스포머블 패션 소재의 유형과 특성 =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ble fashion materials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남윤진 p. 39-50

현대 패션에 표현된 문학의 특성 및 경향 =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literature in modern fashion : focusing on Dante Alighieri's La Divina Commedia :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을 중심으로 남혜진 p. 51-70

문신의 조각과 건축에서 수목형과 리좀형의 형태생성 방식 연구 = Moon Shin, arborescent and rhizomic form generation in sculpture and architecture 박미예 p. 71-87

리좀 개념에 의한 무한 증식적 구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unlimited proliferating composition in rhizome : focused on Frank Stella’s Marquette arrangement rule : 프랭크 스텔라의 마케트 배열방식을 중심으로 변재희 p. 89-112

상업공간의 재생 유형별 실내구성과 디자인 요소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interior composition and design elements by type of regeneration of commercial spaces : focused on large size cafes : 대형 카페 중심으로 서진희, 윤세환 p. 113-127

동시대 시각예술 작품에 나타난 ‘추’의 미학 = The aesthetics of ‘ugliness’ in contemporary visual art works 선영현 p. 129-140

어린이 놀이터 녹지공간에서 부모의 의도와 어린이의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parents’ intentions and children’s intentions in children’s playground green spaces 소상과, 조광수 p. 141-154

VR툰의 시각적 연출기법 연구 = Study of visual staging techniques in VR comics : focused on the work <The Tide VR> : 작품 <조의 영역 VR>을 중심으로 양덕규 p. 155-166

구인구직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user experience in job search applications : focused on Jobkorea, Saramin, and Worknet : 잡코리아, 사람인, 워크넷을 중심으로 염여, 조성환 p. 167-185

다공성 구조 섬유에 빛의 투영을 통한 공간 표현 = Spatial representation through light projection in porous structural fibers 우정이, 신나경 p. 187-200

‘소라’를 주제로 한 펠트 가방디자인 연구 = A study on felt bag design themed on ‘seashell’ : centered on the ‘seashell’ narratives in literary works : 문학작품 속의 ‘소라’이야기를 중심으로 유미영, 양성원 p. 201-216

공기팽창형 막의 제조 원리에 기초한 동시대 조형예술 = Contemporary art based on the fabricating principles of inflatable membranes 윤순란 p. 217-230

청나라 사두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of slag bucket in the Qing Dynasty 이강, 김승호 p. 231-242

전통사찰 창살문양의 조형적 요소를 3D 프린팅 기법으로 활용한 목 장식 디자인 개발 = Development of a neck decoration design that combines 3D printing technique and the traditional temple muntin pattern : focused on Seonghyeolsa, Beomeosa, and Tongdosa : 성혈사, 범어사, 통도사 창살문양을 중심으로 이관우, 허정선 p. 243-258

초등학생의 도자공예 수업 선호 요인에 관한 Q 방법론 연구 = A study on the Q methodolog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ence for ceramic craft classes : focusing on 4th to 6th graders : 4학년~6학년 중심으로 이규혁 p. 259-277

전시와 비평으로 보는 한국 현대도예 = An exploration of modern Korean ceramics through exhibition and critique : a study focused on works from the 1950s to 1970s : 1950-197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 이소현 p. 279-289

고객경험 강화를 위한 사용자 모델링 기반 건강검진 서비스 디자인 방향성 연구 = A study on design direction of health checkup service based on user modeling for enhanced customer experience 이장미 p. 291-304

미술 전공자를 위한 학습윤리 교육 콘텐츠 및 모형 연구 = A study on the content and model of learning ethics education for art major 이정우, 이지현, 김광식, 박혜신, 윤수인, 김지인 p. 305-322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제작 방식의 접목으로 발생되는 예측 불가능성에 대한 디자인 조형 연구 = A design formative study on the unpredictability arising from the combination of digital and analog production methods : focusing on works applying hand-crafted surface treatments to FDM 3D printing techniques : FDM 3d 프린팅 방식에 수공예적 표면처리를 적용한 작품 중심으로 장문정, 장성연 p. 323-337

패션 텍스타일 디자인의 현대적 창작유형 연구 = A study on contemporary typology of creation in textile design for fashion : focused on the 22’ SS to 24’ SS collections of Dries Van Noten, Marni, and Richard Quinn : 드리스 반 노튼, 마르니, 리처드 퀸의 22’ SS부터 24’ SS 콜렉션 중심으로 정하정 p. 339-359

대학생의 미술치료 기반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tress management program based on art therapy for university students 조완희, 정유미 p. 361-374

불확실성 회피성향에 기반한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한·중 소비자 태도 = The attitudes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towards cosmetic package design based on uncertainty avoidance 차은수 p. 375-391

新 가치 창출 디지털 이노베이션 패션 플랫폼 모델 제안 = Proposal of fashion platform for new value creation digital innovation fashion companies. 2 하지태, 김현주 p. 393-406

‘점근축’ 개념으로 살펴보는 애니메이션의 ‘유령영역’ = Exploring animation’s ‘ghost zone’ through the ‘paraxis’ concept : focused on scene analysis of Hayao Miyazaki’s “Spirited Away” : 미야자키 하야오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장면분석을 중심으로 하홍의, 변혁 p. 407-420

형상 문법에 기반한 징더전 청화백자 문화상품 디자인 = Design of Jingdezhen blue and white porcelain cultural products based on shape grammar 훠위에신, 정재완 p. 421-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