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은 「문화재보호법」에 무형문화재 영역의 하나로 명시된 ‘전통적 놀이’의 범주와 분류체계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전통적 놀이는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온 무형의 유산 중에 일정기간 역사성을 충족하면서 동시에 현재의 전승성을 확보한 놀이를 말한다. 따라서 그 범주는 유사한 의미를 지닌 ‘전통놀이’·‘민속놀이’·‘전래놀이’를 아우른다.

놀이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된 오랜 무형유산의 산물이다. 문화복합체로 성립된 놀이의 종류는 수없이 많고 다양하다. 때문에 모든 놀이를 하나의 일관된 원칙으로 포괄하기란 애초에 불가능하다. 그런데도 난마처럼 얽혀 있는 놀이의 분류를 시도하는 이유는 한국 무형유산의 커다란 흐름 속에서 전통적 놀이의 양상을 체계적으로 접근하고, 나아가 그 속에 용해된 의미망을 확장하는 데 목적이 있다.

놀이는 일정한 목적성과 더불어 참여자의 자발성·평등성·공감성·공정성을 근간으로 성립된다. 자발적인 놀이가 이루어지는 요체는 재미와 규칙의 공정성이다. 편을 나누어 승부를 겨루든, 상대와 마주 앉아 판놀이(board game)를 하든 재미가 없으면 더 이상 놀이는 형성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놀이의 지속성을 담보하면서 유희적 속성을 극대화해주는 것이 바로 규칙이다. 물론 전통적 놀이 중에는 규칙이나 승부와 무관하게 나름의 질서를 가지고 전개되는 놀이도 적지 않다.

이러한 놀이의 속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놀이의 진행방식과 규칙의 유사성’을 주요 기준으로 삼아 크게 아홉 가지 범주로 대분류하였다. 이른바 〈겨루기놀이(승부놀이)〉, 〈술래놀이〉, 〈내기놀이〉, 〈역할놀이〉, 〈가무놀이〉, 〈언어·노래놀이〉, 〈오락유희놀이〉, 〈기원·의례놀이〉가 그것이다. 아울러 각각의 범주를 다시 세분류하여 30가지 유형의 전통적 놀이 분류체계를 도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전통어로방식_어살’의 전승과 구조에 관한 재론 = Reexamination of the transmission and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fishing method, Eosal’ : focusing on Jukbangryeom in the straits of Jijok area, Namhae County : 남해군 지족해협 일대 죽방렴을 중심으로 권봉관 p. 95-128

우즈베키스탄의 무형유산과 고려인 미술가들 = Uzbekistan’s intangible heritage and Koryoin artists 전선하 p. 129-152

지방무형유산 보호제도의 도입과 전개양상 연구 = Study on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local intangible heritage systems : focusing on the Gyeonggi area :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김선미, 김영재 p. 5-37

한국 무형문화재 영상기록물의 종류와 활용 = Types and utilization of video records of Kore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고유진 p. 39-66

김일성·김정일 집권기 북한의 무형유산 인식과 김정은 시대의 계승 및 보호사업 = Recognizing North Korea’s intangible heritage during the Kim Il Sung and Kim Jong Il eras and its succession and protection in the Kim Jong Un era 이현빈 p. 259-297

전승공동체 종목 국가무형유산 기록화 방안과 과제 = Methods and tasks for recording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in traditional community 강석훈 p. 67-94

‘전통적 놀이’의 범주와 분류체계 기초연구 = A basic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category of ‘traditional play’ 강성복, 박종익 p. 153-187

국립무형유산원 상설공연의 양상과 특징에 관한 연구 = Research on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regular concerts at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김현철, 김영재 p. 231-258

민속춤 예인들의 연행분석을 기반으로 한 안무법 연구 = A study on the choreography based on the performance analysis of folk dance artists : focusing on the production process of <Suckkeojaebi> based on Gyeongsangdo mask dance : 경상도 탈춤을 기반으로 한 <섞어잽이> 제작과정을 중심으로 박인수 p. 189-230

‘공노비·상인·백정·재인’, 반인(泮人)의 다양성과 유기적 관계 = Public slaves, merchants, butchers, performers : the diversity and interrelationships among Banins in searching for Banins as Bonsandae-nori players : 조선 후기 본산대놀이 연희자 반인을 찾아서 오진희 p. 299-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