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이황의 출처관을 통하여 권호문의 출처관을 먼저 파악하고, 〈閑居十八曲〉 분석을 통하여 권호문의 은거 동인과 창작 동인을 살펴보았다.

이황의 『言行錄』을 통해 그의 구체적인 출처관을 살펴봄으로써 이황에게서 수학한 권호문의 출처관을 짐작하였다. 이황은 임금이 어질다 하더라도 관직에 있는 사람들이 자신이 할 일을 방해하고 나라를 어지럽힌다면 벼슬을 할 수 없다고 보았으며, 제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부모와 가문을 위해 과거 시험을 볼 것을 권하면서도 과거 응시나 관직에서 물러나는 것은 본인의 판단에 달려있음을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출처관을 바탕으로 〈閑居十八曲〉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8수]의 ‘富貴危機’와 『松巖集』에 수록된 산문과 한시를 통하여 권호문이 세태, 특히 관료들의 행태를 부정적으로 바라보았음을 확인하였다. 화자가 출사와 은거 사이에서 갈등한 것은 사대부가 지키고 행해야 할 원칙과 본인이 수학하며 쌓아온 신념 사이에서의 갈등이었다. 사대부에게 있어 출사가 최선의 일이고 은거가 차선의 일임을 생각한다면 화자가 은거를 선택해야만 하는 이유가 반드시 있어야 할 것이다. 필자는 그 이유를 화자가 바라본 세태에서 찾았다. 邦無道하면 출사할 수 없다는 가르침과 신념으로 ‘富貴危機’는 곧 권호문의 은거 동인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16수]의 ‘懷寶迷邦’을 통하여 권호문의 주위에 그의 은거에 의문을 갖는 사람이 끊임없이 있었을 것이며, 따라서 그의 은거 동인과 그 의지를 개개인에게가 아닌 다수에게 공표할 필요가 있었을 것으로 보았다. 이에 따라 다수가 공유한다는 특성을 가진 국문시가를 이용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것이 바로 〈閑居十八曲〉의 창작 동인이 될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고전시가의 통속성과 그 사회문화적 배경 고찰 = Examination of the commonality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of classical Korean poetry 황병익 p. 7-63

통속의 정치와 민요 = The politics of ‘Tongsok(通俗)’ and folk songs 박애경 p. 65-102

판소리 서사 통속화의 의미 = The meaning of Pansori narrative’s popularization : the affirmation of everyday life and the popularization and appropriation of Confucianism : centered on <Chunghyangga> : 일상의 긍정·유교의 통속화와 專有 : <춘향가>를 중심으로 서유석 p. 103-138

권호문의 은거 동인과 <閑居十八曲>의 창작 동인 = Kwon Ho-mun’s hermit life motivation and creative motivation of <Hangeosippalgok(閑居十八曲)> 전상은 p. 141-165

‘남학가사’ <나옹화상셔왕가라> 연구 = Study on Namhak Gasa <NaonghwasangSeowanggara> 김기종 p. 167-194

<창란호연록>에 나타난 도덕적 감정으로서의 수치심 = Shame as a moral emotion in Changranhoyeonrok 고은임 p. 195-227

<宗生傳>의 인물 형상과 서사구조 = The characterization and narrative structure of Jong-saeng-jeon : focusing on the succession and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romantic Jeongisoseol : 애정전기소설의 계승과 변용을 중심으로 유해인 p. 229-264

세책본 계열 <김원전>의 특징과 의미 =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novels for lending edition of Kim Won Jeon 최현민 p. 265-295

『分類杜詩考證』의 편찬과 주해 방식 = The compilation and annotation method of <Bullyudusigojeung> 정우봉 p. 297-344

민담 구성요소 간 관계의 네트워크 시각화 방안 시론 = A preliminary study on network visualization of relationships among folk tale components : focusing on the Fox Sister tale : <여우누이>를 대상으로 김준희 p. 345-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