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대학교육의 질 제고와 학령인구 감소 대처를 위해 3주기로 구성된 대학구조개혁 추진계획이 발표된 이후 대학구조개혁평가는 정부재정지원과 연계된 형태의 대학기본역량진단으로 변경되었고 2025년에는 새로운 대학평가체제의 도입이 예고되어 있다. 본 연구는 대학평가정책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을 통해 새로운 대학평가체제가 안착하는데 고려되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ooper 외(2004)의 다차원 교육정책 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역대 대학평가정책과 새로운 대학평가 개편방안을 규범적, 구조적, 구성적, 기술적 차원으로 구분하고 다양한 이론을 바탕으로 종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규범적 차원에서 정책의 목표와 가치는 고등교육 질 제고와 대학경쟁력 강화가 일관되게 강조되었다. 둘째, 구조적 차원에서 정책의 조직구조와 체제는 정부, 연구기관, 대학 수준으로 구분되고 수준별로 기획, 집행, 평가의 기능이 작동을 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구성적 차원에서는 정책의 이해당사자가 정부 관료, 평가위원, 대학구성원으로 구성되면서 상호유기적 관계가 형성되어 있다. 넷째, 기술적 차원에서 설명회 및 공청회, 사후컨설팅 및 교육연수사업, 제도적 기반 마련 등이 정책의 지원체제로서 정책 운영이 원활하도록 보조적 기능으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에 대한 각 차원별 주요 시사점으로 정책의 목적 및 가치의 확대, 협의회 설치, 상향식(Bottom-Up) 접근 채택, 법률적 기반 마련 등을 도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대학에서의 코딩수업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와 융합역량의 매개효과 = Effect of coding class in university on creativity and mediating effect of convergence capabilities 오대영 p. 225-251

대학교를 졸업한 청년 근로자의 과잉교육, 직무만족, 직업 가치관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education, job satisfaction, and job value orientation among employed young university graduates : testing a moderated, multiple mediator model : 조절된 다중매개모형 김도희 p. 55-93

4년제 대졸 임금근로자의 전공계열별 첫 직장 조기퇴사 영향요인 연구 =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early job turnover among 4-year college graduates by major field 윤지영, 허은정 p. 21-54

지·산·학 협력 기반 지역인재육성체계 구축 방안 = A study to establish a local manpower development system based on the cooperation among regions, industries, and universities 정종철, 황영아 p. 253-275

대학입학전형에서 교육평등에 관한 미국대법원 판례분석 = Analysis of U.S. Supreme Court cases on the equality of education in university admission programs : focusing on SFFA case : SFFA 사건을 중심으로 이황원 p. 1-20

2028 대입제도 개편 시안에 따른 학생부교과전형의 정량평가 방향 = 2028 Reorganization of the college entrance system quantitative evaluation direction of student sub-curricular admissions 황우원, 조원기 p. 131-163

PBL(Project-Based Learning)기반 취업지원 프로그램 만족도가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satisfaction with an employment support program designed by applying project-based learning on college students'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 the mediating effects of employability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고용가능성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이가람 p. 277-302

대학발전계획의 내용 분석과 시사점 탐색 = Trends of development plan of Korean universities 이석열, 신재영 p. 193-224

대학평가정책에 대한 다차원 교육정책 분석 = Analysis of university evaluation policy using multi-dimensional education policy analysis model : focusing on higher education restructuring evaluation : 고등교육구조개혁평가를 중심으로 이민재, 이희숙 p. 165-192

신임 입학사정관 공통교육과정 설계 연구 = Study on the design of a common curriculum for new admissions officers 최미숙, 서화정, 최상은, 김병주 p. 95-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