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학습자들이 작성한 주장하는 글 10,084편, 1,471,694어절 규모의 말뭉치를 바탕으로 접속부사 사용 양상이 발달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 및 학년이 상승함에 따라 접속부사 사용 빈도는 점차 감소하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둘째, 학교급이 상승함에 따라 ‘하지만, 따라서, 그러나’ 등의 접속부사 사용은 증가하고, ‘그리고, 또’ 등의 접속부사 사용은 감소하였다. 이는 구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접속부사를 선택하는 빈도가 감소하고, 문어 또는 학술 영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접속부사를 선택하는 빈도가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추론해 볼 수 있다. 셋째, 의미 범주에 따라 접속부사를 분류하였을 때, 학습자들의 접속부사 사용 비율은 ‘등위/부가 > 이유/설명 > 대립 > 조건 > 단어 연결’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이유/설명’ 범주의 사용 비율은 학교급이 상승하며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반면, ‘대립’과 ‘단어 연결’ 범주의 사용 비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이를 보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가없-·가이없-·가엾-’에 대한 어휘화 연구 = A lexicalization study of 'Gaeops-, Gaieops-, Gayeops-' 김성옥 p. 5-33

國語 主格의 形成과 相 = Formation of Korean nominative and the aspect 오충연 p. 35-68
한글 편지에 나타나는 청자높임법 등급의 사용 양상에 대한 고찰 = A study of the usage patterns of Korean honorific levels according to sender-recipient relationships : focusing on Hangeul letters from the late 15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이지영 p. 69-123
‘ㄹ’ 뒤 평폐쇄음의 폐쇄 양상 = The study on a closure pattern of the post-ᄅ lenis stop 전진호, 웅연 p. 125-145
한국어 부사어 구문 문장 처리 연구 = Processing patterns in Korean adverbial sentences : a comparative analysis of native and non-native speakers of Korean : 모어 화자와 고급 학습자의 비교 백준오, 정현정, 이선영, 남윤주, 김영주 p. 147-173

사회적 독서로서 ‘함께 읽기’의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reading together' as social reading : 문학 텍스트 함께 읽기의 대화 분석을 중심으로 이인화 p. 175-213
초중등 학습자의 주장하는 글에 나타난 접속부사 사용의 발달 양상 연구 = A developmental study of conjunctive adverb use in argumentative writing of primary and secondary learners 이진현, 이상재, 길호현, 김철희, 신명선 p. 215-257

조선어 교재의 문법 항목 연구 = Grammatical items in North Korea's Korean language textbooks : focusing on 『Korean Language (for International Students)』(2022) published by Kim Il Sung University : 김일성종합대학 출간 『조선어(류학생용)』(2022)를 중심으로 허예인, 김낭예 p. 259-295
주지주의 시론(試論) = The poetics of intellectualism : focused on its relationship with Anglo-American new criticism : 영미 신비평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신문봉 p. 297-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