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근대 초 향유된 ‘이팔청춘가’의 노랫말 분석을 통해 아직 정립되지 못한 잡가 이팔청춘가의 실제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활자본 잡가집과 유성기 음반에 수록된 잡가 이팔청춘가의 노랫말을 모두 분석하였고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밝혀낼 수 있었다.

첫째, 활자본 잡가집에는 ‘이팔청춘가’가 총 30회 수록되었는데 노랫말의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과부의 이야기를 노래한 ‘홀과수형’(3회 수록), 청년의 근면과 학문 정진을 권하는 내용의 ‘소년훈계형’(22회 수록), 젊은이들의 사랑을 노래한 ‘연애·애정형’(5회 수록)이 그것이다.

둘째, 유성기 음반으로 발매된 ‘이팔청춘가’는 모두 49개이고 이 가운데 현재 노랫말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모두 14개였다. 그리고 유성기 음반 ‘이팔청춘가’에서는 ‘홀과수형’, ‘연애·애정형’ 노랫말이 주류를 이루었고, ‘연애·애정형’의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셋째, 잡가 ‘이팔청춘가’의 노랫말을 종합해 본 결과 홀과수형-소년훈계형-연애·애정형의 순서로 발생되었으며 1920년대까지는 소년훈계형, 1930년대에는 연애·애정형이 더 많은 인기를 끌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홀과수형’ 이팔청춘가에 청년을 훈계하는 노랫말을 만들어 붙여서 ‘소년훈계형’ 이팔청춘가가 만들어졌는데 이는 근대 초 새로운 국가 발전의 주체로 호명된 ‘소년’(청년)에게 권학, 근면이 요구된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깊은 관련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연애·애정형’ 이팔청춘가는 ‘자유연애’에 대한 당대 대중들의 사회적 풍속이 반영된 결과이다.

이렇게 잡가 ‘이팔청춘가’ 노랫말의 발생과 변이 과정 분석을 통해 근대의 잡가가 당대의 대중가요로서 당시 대중의 기호와 요구를 얼마나 민감하게 반영하여 창작·향유되었는지 알 수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 정부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과 한국어교육 정책 고찰 = A study on the Korean government's foreign student attraction policy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김윤주 p. 1-33

다문화 학습자 대상 온라인 한국어 콘텐츠 내 게임화 요소 분석 연구 = Research on analysis of gamification elements in online Korean contents for multicultural learners 안미홍 p. 35-83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 쓰기 불안 분석 = Analysis of Korean writing anxiety among beginner Korean language learners 안성민 p. 85-111

직업 맞춤 호환형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mpatible Korean curriculum for occupational customization 박진욱, 장미정, 노정은, 손혜진, 안정호 p. 113-157

근대 초 향유된 잡가 ‘이팔청춘가’류의 노랫말 양상과 의의 = The song patterns and significance of the early modern song 'Ipalcheongchungga' 김지혜 p. 159-191

영화에 나타난 ‘시적인 삶’에 있어서 윤리(倫理)와 구도(求道)의 문제 = Ethics and cultivating the Tao in 'poetic life' depicted in films : focusing on the films <Paterson> (Jim Jarmusch) and <Poetry> (Lee Chang-dong) : 영화 <패터슨>(짐 자무시)과 <시>(이창동)를 중심으로 강호정 p. 193-220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캐릭터의 가치관 대립에 대한 인류세와 대안 인류세적 해석 = An interpretation of the conflicting values in the ecological SF narrative <Nausic[a]ä of the Valley of the Wind> through the lens of the anthropocene and the alternative anthropocene 김기홍 p. 221-254

대학의 교육 현장을 예로 짚어보는 불안의 문제 = A study on the issue of anxiety manifested in the context of university education : focusing on frame switching as a mental model of fulfillment : 채움의 심성모형, 프레임 전환을 중심으로 임형모 p. 255-2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