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놀이에 나타난 또래 간 놀이 상호작용 행동 및 반응 양상을 탐구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23년 5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여름 방학을 제외한 6개월간 G유치원 5세 우정반 24명을 대상으로 놀이를 비참여 관찰하였다. 놀이 상호작용 행동과 놀이 반응을 양적, 질적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놀이에 나타난 또래 간 놀이 상호작용의 양상을 살펴본 결과 놀이 상호작용행동은 설명, 제안, 지시·명령, 질문, 시범 범주가 높은 순위로 관찰되었고 대부분 또래에 의해 수용되었다. 또래 간 놀이 상호작용 경험의 의미를 분석한 결과 설명을 통해 함께 하는 놀이 이해시키기, 질문을 통해 놀이를 구체화 시키고 문제 해결하기, 생각 표현을 통해 차이를 조율하고 놀이 변형하기로 분석되었다. 놀이 상호작용 행동에 내재한 의미로는 공감으로 놀이 지속하기, 리더로서 놀이 이끌기, 놀이에 함께 하고 싶은 마음 표현하기와 거부하기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놀이 속 상호작용자의 개념을 교사가 아닌 또래로 바라보며 탐색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유아의 관점으로 경험한 놀이 속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교사의 놀이 상호작용 방향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놀이에 대한 세 어머니의 이야기 = Stories from three mothers about play : concerns regarding diverse perspectives on play : 놀이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에 대한 고민 박서현, 최연철 p. 5-35

만 4세 사랑반 유아들의 이름글자 관련 문해 경험 = Young children's literacy experiences with their name letters in the four-year-old sarang class 김보미, 서윤희 p. 37-66

유아를 위한 디지털 인지놀이앱 사용 경험 연구 = A study on experiences using digital cognitive play apps for young children : focusing on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nd mothers : 교사와 어머니의 협력을 중심으로 이연승, 변선주, 조경미, 신수진 p. 67-89

디지털 이미지를 활용한 이야기 만들기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경험 탐색 = Exploring children's experiences in story creation using digital images 이지은, 최연철 p. 91-110

현장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에서의 예비유아교사의 수학적 태도 변화 = Changes in mathematical attitud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o strengthen field teaching competency 곽진이 p. 111-135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mothers' play beliefs on young children's overdependence on smart devices :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home environments : 창의적 가정환경의 매개효과 오여진, 한지수 p. 137-160

육아 코칭 TV 프로그램에 나타난 영유아 자녀 양육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early childhood care in a parenting coaching TV program 정혜욱, 허가영 p. 161-190

유아교사가 실천 경험을 통해 이해하는 가르침의 순간 =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ing of teachable moments through their teaching experiences 심지경, 김미애 p. 191-220

놀이상황에 기초한 유아 자기조절력 평가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A validation study on the play-based self-regulation assessment scale for early childhood 박경희, 윤제현, 이경옥 p. 221-243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전문적 지식의 의미 = An exploration of professional knowledge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lay-based curriculum 곽희선, 김미애 p. 245-276

포스트휴먼 생태주의로 바라본 영유아 생태전환교육 =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rough posthuman ecology : towards an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of becoming : 되기(becoming)의 생태전환교육을 위하여 동풀잎 p. 277-301

만 3세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인지 발달 간의 관계에서 초기 실행기능의 매개효과 = The mediation effect of executive fun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language·cognitive development in 3-years-old children 서소정, 김경희, 송지연 p. 303-324

놀이에 나타난 또래 간 놀이 상호작용 행동 및 반응 양상 탐구 = Exploring peer interaction behaviors and response patterns in play 임민정, 문소영 p. 325-350

개정누리과정 실천을 위한 교육실습 경험 탐색 = Explori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racticum experience for implementing the Revised Nuri curiculum 방유선 p. 351-377

은유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학교’ 및 ‘영유아를 위한 학교’에 대한 인식 =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school' and 'school for infants and children's through metaphor analysis 최나은, 조부경 p. 379-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