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기업가정신 및 창업교육을 위한 온라인 프로젝트학습(PjBL)의 만족도와 태도가 차세대영재기업인 핵심역량 및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analysis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ttitude of online project-based learning(PjBL) to the next generation gifted entrepreneurs' competency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
백민정, 성은모
|
p. 1-17
|
|
|
|
비교과 프로그램을 참여한 전문대학생의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와 프로그램 만족도가 평생교육 학습 지속 의향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programs on self-determined learning motivation and program satisfaction of junior college students : implications for lifelong learning persistence
|
이상호
|
p. 19-29
|
|
|
|
한국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 대상 학습자 중심 수업 방법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ity : 창의성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
박소정, 박인우
|
p. 31-42
|
|
|
|
베트남에서의 한국어교육 실천 양상 연구 = The 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practices in Vietnam : focusing on the practi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t Hanoi Thang Long University : 하노이 탕롱대학교 한국어과의 한국어 교육 실천 사례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
박은진, Tran Thi Bich Phuong
|
p. 43-68
|
|
|
|
청소년이 지각하는 모의 심리적 통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력에 대한 매개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n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depression perceived by adolescents
|
김수현
|
p. 69-81
|
|
|
|
웹기반 PBL 환경에서 복잡한 정구조 문제해결을 지원하는 스캐폴딩 전략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 A Delphi study to develop scaffolding strategies to support complex structural problem solving in web-based PBL environment
|
김주연, 조일현
|
p. 83-107
|
|
|
|
무용학과 대학생의 창의적 마인드셋과 과제수행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자기개념의 매개효과 =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creative self-concept in the effect of creative mindsets for dance students
|
장혜주
|
p. 109-127
|
|
|
|
Relationships between attitude toward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activity levels in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 중국 장시성 중학생들의 체육교육에 대한 태도와 신체활동 간의 관계
|
Yu, Yangzhao, Lee, Ansu, Choi, Seungwoo, Park, Sungki, Liu, Shuangrui
|
p. 129-141
|
|
|
|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예비영유아교사의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digital media literacy : with a focus on metaphor analysis and FGI : 은유분석과 FGI를 중심으로
|
윤소영, 이상선
|
p. 143-158
|
|
|
|
QR코드 학습과 동영상 자가학습 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QR code learning and video self-learning education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
정은경, 정지연
|
p. 159-169
|
|
|
|
생성형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글쓰기 지도 방안 = Writing instruction method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AI)
|
이빛나
|
p. 171-189
|
|
|
|
감성지능이 대학생 학습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수준 분석 = Analyzing the multilevel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ollege student learning team performance :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최성원
|
p. 191-206
|
|
|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반한 2015 및 2022 개정 과학과 공통교육과정의 생명 영역 성취기준 분석 = Comparison analysis of life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common education science curriculum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
김현진, 신영준
|
p. 207-219
|
|
|
|
뉴스에 나타난 지역 간 교육격차 경향과 인구감소지역과의 비교 = A comparison of regions' educational gap and depopulated areas : predicting trends in regional population characteristics through topic modeling of news from 2004 to 2023 and time series analysis : 2004-2023년 기사에 대한 토픽모델링 및 시계열분석을 통한 지역인구특성 추세 예측
|
김효은, 이은혜, 최나야
|
p. 221-241
|
|
|
|
교육 상담에서의 의사소통 중심 보드게임 활용 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A consensual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utilizing communication-focused board games in educational counseling
|
박성남, 강정원, 김인숙, 장은주, 양지웅
|
p. 243-264
|
|
|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 역량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수퍼비전 기대 차이 =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school counselors' job competency and its relation to supervision expectation
|
박은혜, 김서현, 이은정
|
p. 265-275
|
|
|
|
초등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국악수업 개발과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의 교과 연계 가능성 모색 = Developing Korean traditional music classes for elementary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nd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linking subjects based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박은주
|
p. 277-304
|
|
|
|
임파워링리더십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을 통한 성격5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and job enthusiasm, the mediating effect of the five personality factors through job crafting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large airline crews and low-cost airline crews : 대형항공사, 저비용 항공사 승무원 비교를 중심으로
|
장신애, 송영수
|
p. 305-322
|
|
|
|
신규간호사의 심폐소생술 지식과 수행자신감이 심폐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s of knowledge and confidence on performance abilit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mong new nurses
|
강우주, 박혜자
|
p. 323-335
|
|
|
|
B대학 교수자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체계 개발 = The development of a framework for teaching competencies program for B university faculty : utilizing the Borich's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 Borich 요구도 및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
전용찬, 남교민, 노윤정, 배재현, 송지훈
|
p. 337-353
|
|
|
|
공업계열 특성화고의 제조 빅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AI-convergence program utilizing manufacturing big data for industrial specialized high schools
|
윤서영, 도윤미, 김귀훈
|
p. 355-367
|
|
|
|
거부민감성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on relationship addic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 자기자비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임한나, 권경인
|
p. 369-383
|
|
|
|
서울 소재 주요 대학교의 금관악기 입시곡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brass instruments audition pieces at major universities in Seoul
|
이미연, 이고운
|
p. 385-396
|
|
|
|
저경력 초등 교사의 육상부 운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A narrative inquiry on the operation experiences of athlete club in low-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
|
박성기, 이안수
|
p. 397-412
|
|
|
|
학습과제특성이 대학신입생의 영어 수업몰입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learning task characteristics on college freshmen's English class flow : the mediating effect of task value perception : 과제가치인식의 매개효과
|
정소영
|
p. 413-428
|
|
|
|
초등 과학과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습자 유형에 따른 시각자료 선택의 신경과학적 중요성과 교육적 제언 = Neuroscientific importance and educational suggestions for selecting visual materials according to learner type in th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 focusing on the “Earth and Universe” units :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
권석원, 한신
|
p. 429-438
|
|
|
|
중장년의 취업여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employment status on depression in middle-aged adult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도식, 장형심
|
p. 439-450
|
|
|
|
한국과 중국 교사 자격제도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the teacher qualification system in Korea and China
|
Xie Hui, Tai Xuemei, 김병찬
|
p. 451-472
|
|
|
|
국내 도덕과 교육 학계의 공감 연구 동향 분석 = The research trends on empathy in Korean ethics education
|
권누리
|
p. 473-488
|
|
|
|
유아 자기조절력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on the effect of children's self-regulation on empathy ability
|
김경숙
|
p. 489-502
|
|
|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외 에듀테크의 연구동향 분석 =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Edtech’ using text mining
|
박종향
|
p. 503-517
|
|
|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행복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 Analyzing research trends on happiness education through network text analysis
|
김하늬, 김영환
|
p. 519-534
|
|
|
|
성향점수매칭 기법을 이용한 PISA와 TIMSS의 수학 영역별 성취도 분석 = Comparison of achievement in mathematics content domains of TIMSS and PISA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
박경미, 김화경
|
p. 535-549
|
|
|
|
2022 개정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교과역량 함양을 위한 클래식 음악 교육내용 탐색 = Exploring the contents of classical music education to cultivate the curriculum of the 2022 revised middle school music curriculum
|
이미진, 정희진
|
p. 551-562
|
|
|
|
한 상담자의 자기성찰을 통한 치유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An autoethnography on a counselor's healing experience through self-reflection
|
이희숙, 양지웅
|
p. 563-582
|
|
|
|
완전 숙달 학습 개념 기반 온라인 문제 다변화 수시 시험 프로그램을 통한 일반물리학의 학업 성취도 향상 =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in general physics through online problem-diversified interim exam program based on mastery learning concept
|
강동열
|
p. 583-594
|
|
|
|
초보 미술치료사의 직업적응 경험과 슈퍼비전 교육요구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 A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on work adjustment experience and supervision education needs for novice art therapists
|
홍우리
|
p. 595-615
|
|
|
|
학생활동중심 수업 참여 경험 및 선호도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experience and preference of participation in student activity-based classes
|
김종숙
|
p. 617-632
|
|
|
|
드론의 자율주행기술을 활용한 고등학생 대상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study of a STEAM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utilizing drone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
정광우, 한신, 김형범
|
p. 633-646
|
|
|
|
게이미피케이션을 적용한 전공수업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major classes applying gamification
|
김우영, 정혜영
|
p. 647-665
|
|
|
|
예비교사 비대면 모의 수업 실습을 위한 사범대학 실시간 온라인 수업 교과목 실행연구 = An action research on real-time online course at the college of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non-face-to-face simulated instruction practice
|
이정민
|
p. 667-691
|
|
|
|
예술로 읽는 인류세의 메시지 = Reading the message of the anthropocene through art : suggestion for the direction of ecological education : 생태교육의 방향에 대한 제언
|
배지현
|
p. 693-713
|
|
|
|
유아 대상 지속가능발전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 focusing on the 「Soop-i Orae Kids Academy Ⅰ」 program : 「숲이오래 키즈아카데미Ⅰ」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조민임, 김보경, 김영주, 정성희, 유희영, 진혜영
|
p. 715-732
|
|
|
|
간호대학생의 성인애착, 정서인식명확성, 심리적 안녕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 Influencing of nursing student's adult attachment, emotional clarity, psychological well-being upon resilience
|
김은영
|
p. 733-743
|
|
|
|
한국판 다차원적 공허감 척도(K-MSES)의 타당화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ultidimensional Sense Emptiness Scale (K-MSES)
|
이소민
|
p. 745-756
|
|
|
|
학교 주도적 교육과정 혁신을 지원하는 국가 = How a nation supports school-led curriculum innovation : implications for supporting implementation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22 through examining the case of Singapore : 싱가포르를 통해 본 2022 개정 교육과정 실행 지원 방안 탐색
|
이주연, 노진아
|
p. 757-771
|
|
|
|
성인 영어 학습자의 외재적⋅내재적 학습 요인이 영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external and internal learning factors on English speaking skills for adult English learners
|
김예지, 김아영, 임동선, 노현호, 정다호, 임지빈, 이성파, 김해찬
|
p. 773-786
|
|
|
|
수용전념치료 이론을 기반으로 한 불안조절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The effectiveness of an anxiety regulation group program based o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ory
|
이승호, 김빈나, 김규연
|
p. 787-801
|
|
|
|
대학 핵심 역량기반 혁신교수법 적용 강의 효과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lectures applying innovative teaching methods based on university core competencies
|
지덕영, 김남일
|
p. 803-811
|
|
|
|
전공자율선택제 도입에 따른 대학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방안 연구 = Study on university curriculum organization and the operation plan for introducing an autonomous major selection system
|
최화숙, 박지회
|
p. 813-832
|
|
|
|
코로나(COVID-19) 이전과 이후의 사교육 이용 과목의 변화 탐색 = Changes in the use of private education before and after COVID-19
|
권경림, 조명근
|
p. 833-846
|
|
|
|
한국과 일본 예비 유아교사의 과거 운동경험에 따른 유아체육 및 건강교육에 대한 인식 =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and health education according to exercise experience of Korean and Japanese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
정영미, 권정선
|
p. 847-858
|
|
|
|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요부안정화 운동이 요통 노인환자의 골반움직임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in using the simulation on pelvic movements and pain in the elderly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
이기수, 박정민, 박재성
|
p. 859-870
|
|
|
|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ffec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impact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ttitude : 학습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손영희
|
p. 871-884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