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토지』에 나타난 고통의 문제와 인식 지평의 확대 = The problem of pain and the expansion of cognitive horizons in Toji 박상민 p. 13-35
박경리 『토지』에 나타난 한 노인의 행보에 담긴 의미 = A study on the behavior of an old man in Park Kyong-ni’s novel Toji : focusing on Gong’s Hermes characteristics : 공노인의 헤르메스적 특징을 중심으로 조윤아 p. 37-64
『구운몽』과 『나르치스와 골드문트』의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The Cloud Dream of the Nine』 and 『Narcissus and Goldmund』 : focusing on the meaning of desire in the two narratives and the significance of its perception : ‘욕망’의 의미와 그 인식의 의의를 중심으로 최윤정 p. 67-101
고전의 해체적 다시 읽기로서 영화 외계+인 연구 = A study on Alienoid as the deconstructive re-reading of the Korean classic 황인순 p. 103-124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으로 본 미디어 이용자 군집분석 = Cluster analysis of media users types based on media literacy competencies 안정임, 서윤경 p. 127-162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기획서 작성 수업 운영 연구 = Learning-based proposal writing lesson operations research : focusing on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ourse <Professional Performance and Strategic Communication> at university A : A대학 <직무 수행과 전략적 의사소통> 교과목 설계와 문제중심학습 적용을 중심으로 주민재 p. 163-191
AI 시대 논증적 글쓰기를 위한 프롬프팅 연구 = A study on on prompting for argumentative writing in the AI era : focusing on ChatGPT writing instruction methods utilizing metacognition : 메타인지를 활용한 ChatGPT 글쓰기 수업 방법을 중심으로 김웅기 p. 193-223
문학을 활용한 도덕시민교육연구 = A study of moral and civic education using literature : focusing on hate : 혐오를 중심으로 장서란 p. 225-264
온라인 다문서 읽기에서 텍스트 난도 인식에 따른 읽기 행동 양상 연구 = Study on reading behavior aspects according to text difficulty perception in online multiple documents reading : through comparison with text evaluation : 텍스트 평가와의 대비를 중심으로 문지연 p. 265-295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다국적 유학생 통번역 수업설계 및 운영 사례 = Case study o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classes for multinational students to foster digital literacy 권문화, 이성아 p. 297-326
한국어 교육에서의 상호문화 리터러시(Intercultural Literacy)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 Basic research on intercultural literac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ing on the concept and educational aim of intercultural literacy : 상호문화 리터러시의 개념 및 교육목적을 중심으로 박소연 p. 327-357
내용 중심 교수법을 활용한 대학 내 외국인 전용 수업 운영 연구 =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a course of a foreign exclusive class through content-based instruction 박정순 p. 359-384

2022 개정 특수 교육과정의 국어과 기본 교육과정과 일반 국어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검토 = Review on linkage analysis between the 2022 Korean languag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and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1, Focusing on subject competencies, goals, and subject content system. 1, 교과 역량 및 목표,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 이인화, 최영인, 이지수 p. 385-418
프랑스 바칼로레아 논술 쓰기에서 능숙한 고등학생 필자의 자기조절쓰기 경험과 인식 = Self-regulated writing experiences and perception of proficient high school students in French baccalauréat dissertation 최진남, 황순희 p. 419-460

과정 피드백과 결과 피드백의 효과 비교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ffects of process feedback and outcome feedback : focusing on peer feedback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중학생의 동료 피드백을 중심으로 윤경훈, 김혜연 p. 461-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