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 글의 목표는 진선(陳選)의 『소학집주(小學集註)』가 『소학구두(小學句讀)』, 『소학증주(小學增註)』로도 불리는 까닭과 그 판본들이 동아시아에서 얼마나 많이 간행되었는지 확인하고, 나아가 동아시아에서 어떠한 위상을 갖고 있는지를 살피는 것이다. 확증할 수는 없지만, 『소학집주』는 1469년에 처음으로 편찬되었고, 1473년에는 약간의 수정을 통해 『소학구두』라는 명칭으로 간행되었다. 이후 어느 시점에 『소학집주대전』에 오눌(吳訥)과 진조(陳祚)의 주석과 함께 수록되면서 『증주(增註)』라는 이름을 얻게 된다. 이렇게 저작된 진선의 『소학집주』는 중국에서 1469년 이래 청나라 말기까지 끊임없이 출판되었고, 중국은 물론이고 한국과 일본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에는 1634에 간행된 중국목판본 『소학집주』가 소장되어 있기는 하지만, 『소학집주대전』의 유입과 함께 율곡 이이(李珥)가 중국의 주석서인 하사신(何士信)의 『소학집성』과 왕오(王鏊)의 『소학집주대전』, 정유(程愈)의 『소학집설(小學集說)』의 내용을 집대성한 『소학제가집주』를 1579년에 편찬하면서, 진선의 『소학집주』는 단 한 차례도 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일본으로 전파된 『소학구두』가 조선을 통해 전래되었을 것’이라는 기존의 연구성과는 잘못된 것으로 보인다. 이와는 반대로 일본에서는 1600년대 중반 무렵 『소학구두』본이 유입된 이래, 1656년을 기점으로 1934년까지 지속적으로 도쿄(東京), 교토(京都), 오사카(大阪)를 중심으로 진선의 주석서를 간행하였고, 특히 오사카에서 많이 간행되었으며, 메이지[明治] 시대에 와서는 출판사를 중심으로 출판이 이루어지고, 전국의 서점을 통해 판매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문화유씨가정보』 수록 동서 분당(1575) 관련 인물들의 인적 관계 = Personal relationships of the politicians related to the Division of East-West Party(1575) included in the Munhwa Yu Clan's Genealogy of 1565 백광열 p. 99-138

『대한망국사열전』의 사실성 검토와 사료적 가치 = A study on the review of the factuality and historical value of the Daehanmangguksa Yeoljeon : focusing on the case of salt merchant Doo-Won Kim : 염상 김두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은주 p. 9-37

『동국사략(東國史略)』의 편찬과 권근(權近)의 고대사 인식 = A study on the compilation of the Dongguksaryak and Kwongeun's perception of ancient history 전덕재 p. 39-98

‘퇴계학파와 율곡학파’ 구도의 역사성에 대한 소고 = A study on the division of Toegye-school and Yulgok-school : expansion, deepening, and appropriation of the this culture of ours in the academic world in 17C : 조선 중기 사상계의 확장, 심화, 전유 오항녕 p. 139-181

임진왜란기 한산도(閒山島) 통제영(統制營)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about Tongjeyeong or naval control headquarters in Hansan Islan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against Korea : focusing on historical materials : 역사 사료를 중심으로 노승석 p. 183-211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 경세론(經世論)의 사상적(思想的) 배경 연구 = A study on the ideological background of Ubok Jeong Kyung-se's (鄭經世) governing theory : focusing on the awareness of "inequity (不均)" and the Sajoksuporon (士族收布論) : 불균(不均) 인식과 사족수포론(士族收布論)을 중심으로 이상 p. 213-239

하곡 정제두와 소론계 주자학자들의 양명학 논변 = Debate on Yangming studies between Hagok Jeong Je-du and Soron neo-Confucian scholars 한정길 p. 241-279

홍대용(洪大容)의 춘추화이관(春秋華夷觀) 연구 = The study on Hong Dae-yong's the theory of spring and autumn' Sinocentrism 이해임 p. 281-310

(서평논문) 김충열의 한국 유학 연구 = Kim-Choongyeol's study in Korean Confucianism : key issues and significances in the history of thought : 주요 논점과 학술사적 의의 이봉규 p. 311-343

정명론(正名論)의 역설 = The paradox of Zhengming : 피해자다움을 중심으로 정두호 p. 345-361

진선(陳選)의 『소학(小學)』 주석서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Chen-Xuan's commentary on Sohak(小學) 김경남 p. 363-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