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본 논문에서는 근대계몽기 언론인, 사학자, 지리학자였던 장지연의 ‘교과서 편찬자’로서의 정체성을 통해 근대와 여성, 교육이 어떻게 길항하고 공명해 왔는지 밝히고자 했다. 장지연은 근대계몽기 교육 담론을 이끌고 창조한 주요한 인물로 한국 여성 교육의 선구자이기도 하다. 그는 『녀ᄌᆞ독본』(1907), 『ᄋᆡ국부인젼』(1907), 〈가뎡잡지〉(1908) 등 여성만을 위한 교과서, 신소설, 잡지 등을 간행하며 다양한 글쓰기를 통해 여성 계몽을 시도했다. 여성 또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여성의 역할이 가정 내부에 국한되어야 한다는 전통적 관념을 전복시킴으로써 그는 여성의 권리와 사회적 지위 향상에 기여했다.
그러나 근대계몽기 장지연의 교과서 편찬 활동은 본질적으로 구국(救國)을 위한 사회운동이자 민족운동의 일환이었다. 그는 여성 교육이 단순히 개인의 발전이 아닌 민족의 독립과 발전에 필수적이라는 결론에 도달한 동시에 여성에게는 여전히 지켜야 할 유교적 가치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조선의 근대와 민족이 처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기꺼이 자신을 희생할 조선의 ‘부인’들이 필요했기에 장지연은 전통적 여성의 역할을 그대로 수행하면서도 사회적·국가적 책무를 담당할 새로운 여성을 상상했다.
그렇게 여성/교육의 측면에서 근대계몽기는 일견 진보의 시대로 접어든 듯 보이지만 가정에 더해 국가/민족에 대한 이중의 과업마저 떠안게 된 여성 ‘고난의 역사’의 시작점이 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장지연의 여성용 교과서는 짧았던 교육구국운동기 근현대 여성/교육에 대한 기대와 상상, 가능성에 대한 전망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For this paper, efforts were made to figure out how modernity, women and education have been antagonistic and resonant through the identity of Jang Ji-yeon who was a journalist, historian and geographer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era as a ‘textbook complier.’ Jang who is a key figure who led education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era and made discourse at the forefront also is a pioneer in the nation’s education for women. He tried to enlighten women through various writing methods by publishing textbooks, new novels and magazines just for women, such as “Yeojadokbon (1907),” “Aegukbuinjeon (1907)” and “Gajyeongjapji (1908).” He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improving women’s rights and social status by showing that women also could perform social roles and overturning the traditional notion that women’s roles should be limited to the home.
During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Jang Ji-yeon’s textbook compilation efforts were inherently a component of both a social and national movement aimed at national salvation. He deduced that women’s education was crucial for the nation’s independence and progress, extending beyond mere individual advancement. While underscoring the necessity of preserving Confucian values among women, he recognized the indispensable role of Joseon’s ‘wives’, who were prepared to make personal sacrifices to surmount the ‘crisis’ of modernity and national identity. Thus, Jang Ji-yeon envisioned a new paradigm of women who would embrace social and national duties while adhering to traditional female roles.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 and education,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initially appears to mark an era of progress. However, it simultaneously heralds the beginning of a ‘history of hardship’ for women, who were compelled to bear dual responsibilities for the nation and their families. Despite these challenges, Jang Ji-yeon’s women’s textbook from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remains significant for its unaltered expectations, imagination, and foresight regarding modern women and education.*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