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2022 개정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 각론 문서 체제의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해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 중 독일어, 프랑스어, 일본어, 중국어 교과와 관련된 12개 과목의 ‘성격과 목표’, ‘내용 체계’, ‘성취기준’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각 구성 요소가 교육과정 개발 취지를 잘 반영하고 있는지, 위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동일한 위계 과목 간 난이도가 유사하게 설정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먼저 특정 과목의 ‘성격’에서 교육과정에 제시되지 않은 용어를 교과 역량과 같이 활용했다는 점, ‘목표’에서 취지에 부합하지 않고 학습의 도달점으로 보기 어려운 목표를 설정하였다는 점이 문제 제기되었다. 다음으로 ‘내용 체계’에서 핵심 아이디어’가 상위 조직자 역할을 잘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교과 내 영역’에서 설정되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점, 위계성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성취기준’에서 지나치게 간략하게 제시되어 위계성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 사항’이 교과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 문제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차후 교육과정 개정과 교육과정 문서의 적용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제언하였다.